괴물 1 이외수 장편소설 컬렉션 6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외수가 추리소설을...? 

한쪽 눈이 함몰된 채 태어난 아이 '전진철'.
군중들 속에서, 또는 화살표를 볼 때 마다 지독한 충동에 시달리게 된다.
절도충동, 방화충동, 폭력충동, 섹스충동...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던 그런 충동들의 종착점은 살인충동.
어느날 자신의 전생을 보게 되었다고 믿게 된 그는
전생에 자신을 죽인 인물들에 대한 복수를 위해 연쇄살인을 저지르게 되고
세상에 있는 모든 네크로필리아들에게 어둠의 전쟁을 부추기는 초생성서를 쓰게 되는데...
 

그러나 아니었다... 역시 인간의 이야기. 

줄거리를 보면 한편의 추리소설이라는 느낌이 들지만 이 책은 추리소설이 아니다.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형사가 나타나고 추격이 있지만 추리소설이 아니다.
전진철이라는 주인공이 있지만 수많은 인물들이 계속 나타나고
그 인물들이 서로 연결되고 그들의  삶이 전기문 처럼  이야기 된다.
사건의 흐름이 중심이 아니라 등장인물들의 삶이, 그들의 이야기가 중심이다.
그러니 추리소설은 절대 아니다.
 

소설이라기 보다 시 모음집 같은.... 

문장 하나 하나가 완전한 문장이다.
각각의 문장들이 때로는 아름다운 서사가 되고
때로는 무시무시한 사건이 되고 때로는 치기어린 웃음이 되는 완성품들이다.
각각의 문장을 하나씩 떼어서 그 속에 숨어있는 작가의 재능을 훔쳐보는 것이 즐겁다.
각각의 문장이 저마다의 여운을 남기고 모든 단어가 정확한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분명히 소설을 읽었는데 수 없이 많은 시를 모아서 읽은 듯한 기분이다.
그가 쓴 [들개]라는 소설에서 화자인 나가 그렇게 간절히 바라던 소설을 실제로 만난 느낌이다.
평생을 언어의 아름다움을 찾아 헤매었다는 작가의 필력이 그 완성을 보이는 것 같다.
 

선천적 문명혐오증인지? 자연에 대한 광신도? 

단순히 문장의 아름다움이 모든 것은 아니다.
만물의 영장이라 스스로 만족하며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인간의 사회에 대한,
인간의 문명에 대한, 인간의 종교에 대한, 인간의 사랑에 대한 처절한 비판이 있다.
묵묵히 인간의 만행을 쳐다보는 자연에 대한, 자연의 사랑에 대한, 자연에 의연함에 대한,
자연의 너그러움에 대한 예찬으로 가득 차 있다.
전진철이 저지르는 모든 만행이 정당화 될 수 없고 그가 말하는 초생성서의 내용을 옹호할 수는 없지만
초생성서에서 비판하는 인간에 대한 내용을 논리적으로 반격할 수 없는 것 또한 인간이라는 생각에
가슴 속 한 곳에 뜨끔함이 배어난다. 과연 인간은 지구의 괴물일 수 밖에 없는가?
 

결국 승리하는 건... 

인간의 문명의 총아라는 도시가 만든 괴물 '전진철'을
결국 도시의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시골 출신의 인물이 물리치는 결말은
결국 인간의 문명이라는 괴물에게 승리하는 자연의 위대함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