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 - 랜덤하우스 히가시노 게이고 문학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일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차별없는 세상은 그저 Imagine일 뿐인가? 

내가 읽은 게이고의 작품들은 모두가 추리소설이었다.
언제나 예상치 못한 강한 반전으로 나의 뒤통수를 치던 뛰어나 추리작가.
분명 추리소성인데도 다 읽고나면 가슴 한구석에 슬픔이 묻어나는 슬픈 추리소설 작가.
그렇기에 카페 회원들이 이 책을 추천했을 때도 당연히 추리소설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느낌은 내가 지금껏 알지 못한 게이고의 모습을 보았다는 느낌일까? 

발표시기로 보면 이 책이 내가 읽었던 다른 그의 작품들 보다 먼저라고 한다.
만약 내가 이 작품을 먼저 접했다면 그의 추리소설들이 어쩜 더 충격적이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그만큼 이 책과 그의 추리소설들 사이에는 느낌의 차이가 있다. 

가난하지만 나름 성실하고 착하게 살아 온 다케시마 츠요시.
배운게 없어 육체노동을 하던 그에게 허리부상은 치명적인 문제가 되었고
그의 가장 큰 희망이던 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도둑질을 하게 된 그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접하고 살인을 하게 된다. '강도살인'.
그에게는 15년의 징역형이 내려지고 홀로 남게된 그의 동생 나오키.
나오키의 인생을 그 순간부터 무수한 차별과 그로 인한 좌절과 절망으로 가득차게 되고
그 모든것을 견디며 이겨가는 나오키의 발목을 번번히 잡아끄는 형의 편지.... 

세상 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고...
죄를 지은 사람이 아닌 그의 가족들, 즉 가해자의 가족들은 아무죄가 없다고...
어린 시절부터 학교에서 귀에 인이 박히도록 들어왔고 윤리적으로 옳다고 세뇌되어 버린 말.
'저 사람 형이 죄를 지었어도 저 사람은 차별해서는 안되'라는 강요된 윤리의식.
그러나 실제로 그런 사람이 그의 이웃이나 그의 동료나 그의 애인이 된다면?
말로는 항상 이야기하고 이성적으로는 인정하는 일들이 실제로 그의 앞에 벌어진다면?
과연 그 때도 우리는 강요된 윤리의식으로, 노래 Imagine의 가사처럼 차별없이 대할 수 있을까?
이 책에 나오는 이웃들, 동료들의 모습이 너무도 현실적이라서 부끄럽다.
나 역시 그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었을기에.... 

작가는 한가지 더 이야기 하고 있다.
죄를 지은 사람이 감옥에 갔다온다고 해서 과연 그가 죄값을 다 치른 것인가? 하는 것이다.
범죄가 뿐만 아니라 범죄자의 가족까지 고통을 받는 것은 어쩌면 잘못된 부조리가 아니라
진정한 '죄값'의 일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물론 당사자에게는 힘든 일이지만... 

이 책에서 작가는 두가지의 생각에서 균형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이쪽도 저쪽도 아닌 결론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가해자의 가족에 대한 차별이 잘못이라는 의견과
그러 차별마저도 어쩜 가해자에 대한 제제의 일부라는 의견.
이 책에서 내리지 못한 결론이 어쩜 최근에 나온 '방황하는 칼날'로 연결된 것이 아닐까?
'방황하는 칼날'에서는 그는 가해자 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가족들에 대한 적대적인 시각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법이 아닌 피해자의 복수를 이야기 하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은 '방황하는 칼날'과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작가의 생각을 떠나서 책을 읽는 내내 나오키의 처지에 가슴이 아팠다.
나오키의 절망과 노력과 작은 희망과 되풀이되는 절망을 보면서
함께 슬퍼하고 함께 땀흘리고 함께 기뻐하고 다시 함께 슬퍼했다.
그에게 절망을 안겨주는 사람들을 욕하고 형에게 등을 돌리는 그의 마음을 이해했다.
마지막에 끝내 노래를 부르지 못하는 그의 모습에 눈물이 나올것 같았다.
참 지독히고 발목을 끄는 그의 형. 그러나 끝내 버리지 못하는 그의 형.
책은 다 읽었지만 계속될 나오키의 불행이 안타깝고
계속될 그의 인생에 응원을 보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나오키. Fighting !!! 

많은 사람이 자신을 응원해주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론 사람들이 응원은 해도 자기 손을 내밀어주지는 않는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나오키가 잘살기를 바라긴 하지만 관계를 맺고 싶진 않은 것이다.
누군가 다른 사람이 도와주면 좋을텐데-이게 그들의 진심일 것이다.

- p. 173

사람에게는 관계라는 게 있네.
사랑이나 우정 같은 것 말일세.
누구도 그런 걸 함부로 끊어서는 안 되지.
그래서 살인을 해서는 안 되는 걸세.
그런 의미로 보면 자살 또한 나쁜 거지.
자살이란 자기자신을 죽이는 거야.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살을 하려 한다 해도
주위 사람들까지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고 할 수 없지.
- p. 3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