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1 - 정조 시대를 읽는 18가지 시선
이덕일 지음 / 고즈윈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조'라는 인물은 요즘 드라마가 나와서가 아니라 어릴때부터 조선의 인물중에서 가장 존경하고 안타까워 했던 인물-이순신과 함께-이었다. 누구도 넘보지 못할 제왕의 자리에 있었으면서도 세상 누구보다도 가장 비극적인 운명을 타고 난 인물. 그런 운명을 이기기 위해 스스로 철인이 되어야 했던 인물이기에 정조와 관련된 책이라면 열심히 읽었던 기억이 있다.  

 거기다 작가는 '이덕일'선생. 나에게 처음으로 독서라는 것의 재미을 알게 해 준 작가이고 역사가 재미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해 준 고마운 사람이다. 3년전 부산으로 내려가는 KTX안에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사 보았던 '조선왕 독살사건'의 충격과 재미는 나를 독서의 세계로 안내했고 그 후 '사도세자의 고백', '조선선비 살해사건', '우리역사의 수수께끼', '장군과 제왕', '그 위대한 전쟁', '여인열전', '고조선의 대륙의 지배자였다, '고구려의 천자의 제국이었다' 등 이덕일 선생의 저서들을 읽으면서 우리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고 과거역사의 아픔과 안타까움을 느끼며 역사의 세계로 빠져들게 되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역사저술가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의 이야기를 한다고 하니 아무런 고민이 없이 바로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내가 이덕일 선생의 책을 많이 읽었기 때문에 중복되어 나타나는 부분이 많을수도 있다는 고민이 살짝 들긴했다. 물론 인용할 수 있는 역사서가 한정되어 있기에 이 책에도 이전의 책들에서 인용된 부분이 중복되기는 한다. 특히 정조의 즉위과정을 설명한 부분은 '사도세자의 고백'과 많은 부분 중복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 책에는 이전의 책들에서 인용하지 않았던 역사서들-일성록, 일득록 같은-에 대한 인용이 많았고 그래서 새로운 부분이 참 많이 있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정조에 관한 기록들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건에 관련된 사서의 내용들을 인용하여 정조시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스스로 철인이어야 했고 스스로 군사(君師)이어야 했던 '대왕 정조'의 모습 뿐만 아니라 비극적 운명에 괴로워하는 '인간 정조'의 모습까지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과히 정조와 정조시대에 대한 백과사전이라 할 만 하다. 

 저자가 서문에서 인용했든 정조는 햄릿이나 오이디푸스의 운명과 비교도 될 수 없을 만큼의 비극을 안고 태어난다. 자신이 있어서 죽을 수 밖에 없었던 아버지. 또한 자신이 있음으로 인해 아버지의 죽음을 방관했던 어머니. 자신이 있었기에 자식을 죽일 수 있었던 할아버지. 그리고 그 참혹한 비극을 일으킨 '택군'을 했던 노론들. 수많은 위협속에서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스스로 최고의 학자요, 최고의 무장이요, 최고의 행정전문가가 되어야 했던 사람. 보위에 올라서도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면 어머니의 한이 되고 할아버지를 부정해야 했던 운명. 그렇다고 묻어두고 가자니 자신을 위해 죽을 수 밖에 없었던 아버지에게 불효가 되는 모순의 운명. 그런 운명에 처했기에 정조의 선택을 연산군 보다 더한 폭군이 되었다 하더라도 납득일 갈 만한 운명이었다. 

 그러나 정조는 자신의 한을 품고 갔다. 영조의 유지를 지키면서 사도세자의 원수를 갚는 길. 그 길은 이미 썩어가기 시작하던 노론들이 언젠가 스스로 열어줄거라는 걸 알고 있었던 정조는 기다렸고 그 뜻대로 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미 뿌리가 깊은 노론을 뿌리채 뽑아낼 수 없던 시대이기에 나름의 논리로 그들의 저항을 무력화 시키며 스스로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모든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며 정치의 기본을 백성에게 둔 애민의 사상으로 자신의 한을 조선의 부흥을 위한 동력으로 소진했던 인물이 정조이다. 그렇기에 정조시대 조선은 죽었던 나무가 되살아나듯 기적적인 부흥의 시기를 맞을 수 있었고 노론의 세력도 자연스레 죽어갈 수 밖에 없었다. 

 대왕 정조의 모습을 보면 철인군주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다. 그러나 인간 정조에 가면 그 철인의 뒤안길에 놓인 한 인간의 슬픔이 눈물을 짓게한다. 암살을 피하기 위해 세손시절부터 밤을 세워 글을 읽어야 했고 스스로 조선 최고의 학자, 군인, 정치가, 행정가가 되어야 했기에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한시도 쉼없이 자신을 채찍질 해야 했던 사람. 비명에 간 아버지에 대한 기억 때문에, 그 원인에 자신이 있었음을 잘 알기 때문에 다른 왕들이 흔히 즐기던 여흥마저 스스로에게 허락하지 않았던 사람. 화가 오래되 열이 생기고 결국엔 그 화로 인한 병증으로 꿈을 다 이루지 못하고 떠나야 했지만 그 화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에 그렇게 허무하게 사라져야 했던 사람. 그의 일생을 생각해보면 스스로 얼마나 즐거웠는지 알 수는 없지만 의도적으로 자신의 즐거움을 거부했던 삶이라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이 가장 크게 다가선다. 

 정조의 치세를 보면서 내가 제일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은 '문체반정'이다. 김탁환의 '백탑파시리즈'를 보면 정조의 문제반정을 스스로 절대군주가 된 정조의 느닷없는 배신행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나도 그 생각에 어느정도 동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문체반정'에 숨어있는 진정한 뜻을 이해할 수 있었다. 물론 저자의 해석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저자의 해석이 얼마나 타당성을 가지는 지 알 수 있다. 그 밖에 정조시대 전반에 걸친 수많은 내용을 알 수 있는 유익한 책이다.
 
 역사서를 대할 때 마다 그 시대에 대한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고 지금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건 인정하며 읽는다. 그렇기에 그 시대의 일들을 오늘날과 비교하지 않으려 나름 노력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는 동안에는 정말로 어쩔 수 없이 지금의 정치권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때는 일반 국민들이 정치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요즘은 TV만 틀면 매일 대하는 것이 그들이고 그들의 일인데 어찌 하는 짓거리는 그 시대보다 더한지 모르겠다. 남이 할 때는 티끌만한 오점도 허용하지 않으면서 자기들이 할 때는 똥묻은 걸 나무라는 사람에게 나무라지 말라고 한다. 정말 기가 막힐 뿐. 제발 그 사람들이 이 책을 한번만 읽어보길 권한다. 물론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자신들의 행동을 반성하거나 자신들의 행동을 고칠 가능성은 없겠지만 적어도 일반 국민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얼마나 기가 막히고 화가 나 있는지는 분명히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제발 정신 좀 차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