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손가락 현대문학 가가형사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용의자 X의 헌신'을 읽고 히가시노 게이고의 팬이 되어버려서 '붉은손가락'마저 읽게 되었다. 이 작품 역시 슬픈 추리소설이다. 처음부터 범인을 밝혀놓고 시작하는 스타일도 동일하다. '용의자 X의 헌신'이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 한 남자의 지극히 순수하고 처절한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고 하면 이 작품은 자식에 대한 부모의 지극한 사랑을 이야기하고 있다. 거기에 서로 서로 벽을 만들며 살아가는 이 시대 가족의 모습을 고발하고 진정 가족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그런데 그 형식이 추리소설이고 그 사건이 살인사건이다. 이야기에는 힘없고 소심한 가장이 나온다. 아내의 잘못된 생각과 행동을 바로잡지 못하고 자식에게 따끔한 회초리 하나 들지 못하는 가장. 모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스스로 해결해 가정을 이끌겠다는 생각보다는 그냥 그대로 놓아둠으로써 누군가가 해결해주면 그대로 따라가는 가장. 그 결과 가정의 파괴라는 최악의 위기에 직면하게 된 가장의 모습이 나타난다. 어떤 면은 나와 닮아 있고 어떤 면은 완전히 다른, 그러나 조금은 비슷하기에 마음속 한곳이 찔리는 모습의 가장이다.  

 그의 이런 모습이 결국 나오미라는 아들을 살인과 회피라는 지경까지 이르게 했지만 한편으로 그의 모습 또한 어머니 마사에의 잘못된 가르침으로 만들어 진 것이기에 마사에의 붉은 손가락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크게 느껴진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서 온실속 화초처럼 자라고 있는 우리 시대의 아이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가정의 중심이 부부가 아니라 아이에게 기울어지고 있는 요즘 우리의 잘못이 결국에 우리 아이를 제2, 제3의 나오미로 만들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가정이란 함께 모여산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내 아이를 귀하게 키우기만 해서도 되는 것이 아니다. 힘들땐 서로에게 의지가 되어주어야 하고 문제가 생기면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하려 함께 노력해야 하고 자식의 잘못은 반드시 지적해주어야 한다. 부부가 서로에게 책임감을 가지고 부모가 자식에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길러주어야 한다. 한 집에 살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게 해 주는 것으로 가장의 역할을 다 하는 것이 아니다. 나 역시 그런 가장이 되어서는 안된다. 

 읽으면 읽을수록 화가 나는 장면이 많고 어처구니가 없는 생각들에 분노가 치밀지만 후반부의 반전들이 그런 분노들을 해소시켜주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반전의 대가다운 작가의 역량은 이번 작품에서도 여실히 보여진다. 마지막 몇십페이지에서 일어나는 반전의 연속, 한번 반전이 일어날 때 마다 어쩔수 없이 찡해져오는 나의 코끝. 이 작가는 분명 추리소설 작가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