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임의 이름은 유괴 - g@m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일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색다른 느낌의 히가시노 게이고.
올 한 해 정말 많은 그의 소설을 읽었지만
아직도 그의 작품세계를 다 이해하기란 머나먼 이야기 같다.
책장 한 칸을 모두 차지 할 만큼 꽤나 많은 작품을 읽었는데
이 작품은 지금껏 읽었던 다른 작품들과 확연한 차이를 느끼게 한다.
오래 알고 지내던 사람의 새로운 모습을 보았을 때의 모습이라고 할까?
영화화 하기에 딱 맞은 소설.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가 이미 일본에서 개봉되어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비록 영화는 보지 못했지만 책을 읽어가는 동안 영화의 장면들이 자연스레 그려진다.
그만큼 영화화 하기에 딱 알맞은 형태의 소설이고 영화만큼 재미있다.
지금껏 내가 읽은 히가시노 게이고는 추리소설이지만 아픔이 느껴지는 소설들을 많이 썼다.
<용의자 X의 헌신>이 그랬고 <붉은 손가락>이 그랬듯이...
그러나 이 작품은 말 그대로 '엔터테인먼트'에 충실한 소설이다.
사회 현상에 대한 심각한 고민도 없고 범죄에 대한 도덕적 경계심도 없이
'유괴'와 '살인'라는 범죄를 소재로 하나의 게임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독자는 유괴범과 동일한 시각으로 그 게임을 즐기게 된다.
'엔터테인먼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소설이다.
범인의 시각으로 본 '유괴의 재구성'
주인공은 순전히 우연으로 여자주인공을 만나고 너무도 즉흥적으로 '유괴'게임에 뛰어든다.
지금까지 세상을 상대로 게임을 해 왔다고 생각하는 주인공은
'유괴' 마저도 자신에게 모욕감을 안겨준 한 개인에 대한 게임으로 생각하고
그 게임에서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천재적인 두뇌를 지닌 범인의 시각으로 쓰여진 이 소설의 백미는
나 자신도 범인과 같은 상태로 경찰의 대응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지 못한 채
경찰을 따돌리기 위한 수많은 트릭들을 장치하고 단서들을 지우는 과정을 따라가는 데 있다.
경찰의 시각에서 범인이 흘린 단서를 줍고 범인이 설치한 트릭들을 피해가는
기존의 추리소설들의 방식과는 완전히 반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형식의 파괴가 주는 신선한 재미는 매력적일 수 밖에 없다.
반전의 대가 히가시노 게이고
히가시노 게이고 소설의 매력 중에 반전이 차지하는 비중도 꽤나 크다.
작품 전반에 걸쳐서 버리듯 흘려놓은 단서들을 조합하여 마지막에 뒤통수를 친다.
이 작품에서도 마지막 한 줄에 까지 그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미 그의 작품에 익숙하기 때문에 읽는 내내 단서들을 찾으려 해 보았으나
역시 이번에도 그의 완승이다. 난 단 하나의 반전도 예상하지 못했다.
결국 마지막 한줄을 읽을 때 까지 작가의 트릭대로 속아 넘어갔을 뿐...
다른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과는 다른 느낌.
신선한 재미와 허를 찌르는 반전으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가끔 책읽기가 지겨워져는 슬럼프에 빠질 때 한번쯤 읽어보면 좋은 책일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