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1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 천사... 드디어 신 !!! 

[타나토노트]에서 인간으로서 죽음 이후의 세계를 탐구하던 그들,
[천사들의 제국]에서 천사의 모습으로 그 뒤의 모습을 탐구하던 그들,
이제 드디어 '신들의 세계'에 발을 내딛는다.
비록 아직 신의 모습이 아니고 '신 후보생'의 모습이지만.
[개미]에서 시작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영혼의 성장이 완결되는 소설 [신].
이 소설을 읽기 위해 나는 [타나토노트]와 [천사들의 제국]을 거쳤고
그 과정에서 베르베르가 그린 우주관과 세계관이 너무 매력적이었기에
이 소설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베르베르가 재 구성한 신들의 세계... 그리고 인간의 역사. 

베르베르는 신들의 세계의 무대를 그리스 신화의 올림푸스산으로 정했다.
왜 그리스 신화이어야 했는지는 작가만이 알 것이고
아직 완결이 되지 않았기에 짐작할 수 없는 일이다.
그의 가정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영혼의 진화단게를 거쳐 최후의 단계인 신이 되기 위한 후보생이 된 미카엘과 친구들.
그리스 신화의 여러 신들로 부터 신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으면서도
그 세계 너머의 무엇을 탐구하고자 하는 그들의 호기심을 여전히 왕성하고
교육이 진행되면서 탈락하는 후보생들이 속출하고 '살신사건'도 발생한다.
신들의 세게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전개되는 흥미진진한 대결과 미스테리.
처음부터 끝까지 눈을 떼기 힘들게 만드는 긴장감이 유지된다. 

신 후보생들이 벌이는 일명 'Y게임'을 통해 베르베르는 인간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창조론과 진화론의 절묘한 조합.
인간의 역사에 개입하는 신들의 역할 등을 적절히 배치하여
인간의 사회와 문화와 정치와 군대가 발전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그리고 있다.
한편의 대하 역사 드라마를 보는 듯하면서
한편으로는 인류사에 대한 훌륭한 텍스트를 보는 듯 하기도 하다.
 

신화와 전설, 과학과 종교에 대한 방대한 지식의 용광로. 

신들의 세계를 구상하면서 작가는 방대한 지식을 풀어놓는다.
과연 그의 독서량이 얼마나 많으며 얼마나 넓은지 상상조차 힘들 정도이다.
책 속의 책 형태인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을 통해서도
수많은 과학지식과 신화, 종교에 대한 그의 지식세계를 엿볼 수 있다.
그와 비교되게 그가 전하는 지식을 전혀 알지도 못했던
나 자신의 편협하고 초라한 독서량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반성을 하게 된다.
그러한 시직들의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하나의 용광로에 넣고 녹여서
새로운 세계관과 우주관과 종교관을 생성해 낸 그의 능력은 역시나 매력적이다.
그러나 조금은 현학적이 되어가는 모습이 보여 아쉬움이 남는다.
 

한국에 대한 애정... 그 특별함. 

이미 [천사들의 제국]에서 한국 대사의 딸을 통해 한국에 대한 애정을 나타냈던 작가는
이 작품에서는 '은비'라는 아이를 통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일본군 위안부의 손녀로 '조센징'이라는 차별과 모욕속에 살아가는 '은비'를 통해
전 세계의 대부분이 잘 모르고 있는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 대한 묘사를 통해 그가 느끼는 한국에 대한 애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혹자는 그의 책이 한국에서 가장 잘 팔리기 때문에 상업적인 의도가 있다고 하기도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이런 홍보를 해준다면 설령 그런 의도가 있다해도
그의 대한 고마움을 줄어들게 만들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도 싸움판을 벌이고 나라망신이나 시키는 그들보다 훨씬 낫지 않은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씨. 당신의 애정에 감사를 드립니다.
 

다음편은 언제쯤.... 

이 책에서 느끼는 단 하나의 문제는 완결이 아니라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신'이 3부까지 완간이 되었으나 이번에 나온 것은 그 중에 1부이다.
그렇다보니 아무런 결론도 없이 이야기의 전개과정에서 갑자기 책이 끝나 버렸다.
각각이 독립적인 이야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이어지는 과정에 있다보니
한참 궁금해지는 찰나에 끝나 버렸다. 꼭 주말드라마처럼 말이다.
궁금해서 미치겠다. 빨리 다음편이 나와야 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