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으로 튀어! 1 오늘의 일본문학 3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에도 많은 팬들을 가지고 있는 오쿠다 히데오.
일본 작가 중에서 가장 유쾌한 소설을 쓴다는 그를 이제서야 만났다.
첫번째 작품으로 선택한 작품이 '남쪽으로 튀어!'
제목부터 튀기 시작한 이 책이 너무도 즐거운 시간을 선물해 주었다. 

단언컨데 내가 읽은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들 중에서도 가장 별난 인물인 아버지.
그 아버지의 유별남에 황당한 사건의 연속으로 매번 당황하지만 결국 익숙해지는 아들 지로.
소설은 초등학교 6학년 지로의 성장소설로 시작하여 세상과 맞장 뜬 아버지의 투쟁으로 끝난다.
1권과 2권의 화자는 같은데 사건의 중심인물은 서로 다르다.
'이치로'와 '지로'라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름부터 예사롭지 않다.
형제의 이름에 알맞은 이름이 부자의 이름이다.
서서히 머리가 굵어가는 아들의 반항에 아버지는 레슬링 한판으로 응징한다.
결국 이 소설은 세상에 대한 '이치로'의 레슬링 한판이라고 할 수 도 있다. 

시종일관 입가에 웃음이 떠나지 않을 정도로 유쾌한 소설이지만
이 소설이 이야기 하는 것은 단순하거나 가볍지 않다.
'공산주의', '무정부 주의', '사회운동의 분열', '개발과 환경의 대립' 등...
평범한 작가가 이런 주제로 소설을 쓴다면 결코 이렇게 유쾌하게 쓸 수 없을 것이다.
가족간의 생이별이 이렇게 덤덤하게 받아들여 지지도 않을 것이다.
분명 무겁고 복잡하고 의식이 있는 주제임에 불구하고 소설의 유괘한 웃음속에 녹아버린다.
자칫 주제의식에 대한 가볍고 경박스러운 희화화로 변질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음에도
이 소설은 경박함과 진지함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넘나들면서 멋진 조합을 이뤄낸다.
이런 작가를 알게 된 것은 나의 독서생활에서 커다란 소득임이 분명하다.
올해 초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작가를 알게 되면서 느꼈던 그 흥분이 오래간만에 다시 느껴진다.
'오쿠다 히데오'라는 이 작가와의 만남으로 인해... 

'투쟁'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 버렸지만 그렇다고 그 의미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투쟁'이 필요한 곳이 수없이 많지만
어느새 우리는 그런 '투쟁'을 구시대의 유물이라는 핑계로 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누군가는 나서야 서서히 변하는 부분이 세상에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런저런 핑게로 그 부분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본다.
어쩌면 작가는 '이치로'라는 황당한 인물을 통해서
우리가 외면하고 피하는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는 그럼 무책임과 무관심의 댓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