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텐베르크의 조선 1 - 금속활자의 길
오세영 지음 / 예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구텐비르크의 인쇄혁명은 조선에서 시작되었다. 

2005년 엘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우리나라에 와서 한 말이다.
학교에서 우리의 금속활자가 세계 최초라고 배우고 외웠으나
과연 어떻게 우리의 활자가 유럽에 까지 전해지게 되었을까? 의문을 가지고 있었는데...
단지 중국을 거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 미국의 부통령이 이런 말을 하다니...
이 한마디에서 시작된 이 소설은 작가의 방대한 자료조사와
역사의 간극을 기가 막히게 메우는 대단한 상상력으로 가득차 있다.
 

조선의 장인이 유럽을 무대로 펼치는 장대한 모험담. 

훈민정음을 반포하고자 하는 세종대왕과 반포를 막으려는 사대부의 대립.
그 대립의 현장에 끼어들게 되는 주자소의 야금장 석주원.
임금의 밀지를 받들기 위해 스승 장영실과 함께 명나라에 잠입한 그가
어려 사건에 휘말리면서 독일의 마인츠까지 가게  되고
그곳에서 조선의 우수한 활자기술과 타고난 장인정신으로 어려움을 헤치며
유럽의 역사의 한 복판에서 겪게되는 모험담.
과연 석주원은 임금의 밀지를 수행할 수 있을까? 그의 여정은 어떻게 될 것인가?
 

실존 인물과 허구의 인물의 조우, 그리고 그 간극을 메우는 작가의 상상력 

전 3권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크게 6개의 이야기로 나뉜다.
조선인 석주원이 구텐비르크를 만나기 까지의 과정.
구텐베르크를 도와 마인츠 상인 길드와의 싸움을 승리로 이끄는 이야기.
안티몬을 구하기 위해 떠난 여정에서 목격하게 되는 천년제국(동로마제국)의 멸망.
푸스트 형제와의 소송으로 파멸의 위기에 몰린 구텐베르크를 구하는 이야기.
피렌체에서 다시 만난 푸스트 형제와의 싸움과 르네상스를 이끄는 메디치 가문의 이야기.
로마에서 다시 만난 푸스트 형제와의 최후의 대결과 보르지아 추기경을 위시한 교황청의 이야기.
좀처럼 연결될 수 없을 것 같은 역사적 사건들이 석주원을 매게로 연결된다.
앞의 이야기의 인연이 뒷 이야기의 발단이 되는 전개방식으로 각각의 이야기가 자연스레 연결된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쿠자누스 신부,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레오나르도 다빈치...
실존하는 역사사의 인물들이 역사책속의 위인이 아니라 살아있는 등장인물이 된다.
그들 사이의 연결은 작가가 창초해 낸 가상의 인물들이 맡는다.
그러다보니 읽는 동안 누가 실제인물이고 누가 가상의 인물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이다.
실존인물과 가상인물의 공존이 이렇게 자연스러울 수 있는 건 작가의 능력이다.
 

방대한 유럽역사 지식과 우리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묻어나는 책. 

나에게는 생소한 유럽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나에게는 생소할 지 몰라도 유럽의 사람들에게는 이순신 장군 만큼 유명하다고 하는데
그들이 만들어 내는 실제역사가 책에 많이 나온다. 유럽역사에 대한 지식이 많아진 느낌.
석주원을 통해서 조선 문화의 우수성과 조선 장인정신의 위대함을 이야기 한다.
유럽을 휩쓰는 문예부흥-르네상스-을 방관자로 지켜보는게 아니라
장인정신과 탁월한 기술로 르네상스의 한 복판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석주원은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책을 읽는 동안 나 역시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훈민정음에 대한 좀 더 많은 이야기가 아쉽다. 

우리 민족문화의 총아라는 훈민정음을 그저 도입부의 소재로만 사용한 것이 아쉽다.
물론 이야기의 주제가 우리문화와 서양 문화의 소통에 있다고는 하지만
조금만 더 훈민정음에 대한 이야기, 창제와 반포에 대한 논쟁을 해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너무나 재미있게 읽어서 주저없이 추천할 만한 책. 

요즘 우리나라를 보면 소통의 문제가 보인다.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이 안되고 정치인들은 서민과의 소통이 안되고
어른들은 아이들과의 소통이 안되고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소통이 안되고....
그러나 600여년 전에 우리는 절대로 불가능한 위대한 소통을 해낸 경험이 있다.
오스만트루크가 동서양의 가운데서 교통로를 막고 있는 역사상 유래없는 단절의 시기에
우리의 뛰어난 활자는 불가능을 넘어 서양으로 전파되고
그 활자를 시발로 해서 유럽의 르네상스를 일으키고 현재의 유럽을 만들어 낸 것이다.
그 위대한 소통의 길목, 작가가 말하는 '활자로드'의 복원.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커다란 의미이다.
그러나 다른 모든 것을 제쳐두고 이 책은 정말 재미있다.
재미와 지식을 함께 주는 의미있는 소설 책.
누구에게나 자신있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