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일종의 반골기질인지 몰라도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작품은 의도적으로 피했던 것 같다.
그래서 북카페에서 여러 사람이 추천하는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주제 사라마구'라는 작가와 그에게 걸린 노벨문학상
이라는 감투의 무게 때문에 쉽게 들지 못했던 책이었는데 나름의 용기를 얻어서 책을 들었다. 

첫장을 읽으면서부터 당황하게 되었다. 문장부호라고는 ,(쉼표)와 .(마침표) 뿐이고 분명히 대화를 하는 상황임에도 따옴표 하나 없으니 그 당혹감이란... 그래서 첫 느낑은 과연 내가 이 책을 다 읽을 수 있을까? 였다. 그러나 그 순간부터 지금 책을 내려놓은 순간까지 단 일순간의 지루함도 용납하지 않는 책의 매력에서 헤어날 수 없었다. 정말 매력적인 책.

작가의 가정은 아주 단순하다. '만약 세상의 모두가 동시에 눈이 멀게 된다면... 오직 한 사람만이 볼 수 있는 세상이 온다면...' 그 단순한 가정을 바탕으로 작가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성에 의해 강요되는 도덕이나 질서,혹은 윤리의식이라는 것이 얼마나 나약한 것인지를 이야기 한다. 눈으로 보면서 몸으로 익히게 되는 관습 혹은 습관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독성이 강한지를 이야기 한다. 윤리의식이라는 틀에 갇혀 있는 인간 본연의 폭력성에 대해 고발한다.

아주 작은, 단지 눈이 멀었다는 가정으로 인해 인간이 만든 문명이란 얼마나 불필요한 것인지 이야기 한다. 남의 불행에 무관심으로 일관하던 인간들이 자신들에게 닥친 불행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과연 있는 것인지 말한다. 

눈 먼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면서 지금도 두 눈이 멀쩡하게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한다. 우리가 눈으로 보고 있는 것, 아니 우리가 보고 있다고 믿는 것들을 과연 우리는 보고 있는 것일까? 우리가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 것들의 뒤에 그 문명들을 문명이게 만드는 인간이 있음을 보고 있는가? 우리가 살고있는 세상에 다른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우리의 도덕이나 윤리의식으로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일들에 대해 과연 우리는 보고 있는 것인가? 그 사건들이 다만 자신이 살고있는 나라에서는 벌어지는 일이 아니기에 그저 눈을 감아버리는 것은 아닌가? 과연 우리는 올바르게 보고 있는가? 

역사를 통해 수없이 반복되게 보아왔던 폭력의 생성과 폭력 앞에 무릎꿇는 인간의 비겁함, 그리고 어느 누군가의 용기로 인해 시작되는 투쟁과 그결과 얻어지는 자유라는 대가가 수용소라는 공간에서 다시 반복되는 것을 보면서 과연 인간은 선함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인지 악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 인간의 관계라는 것도 심지어 가족이라는 최고의 관계마저도 부정되어 버리는 현실에 고개를 돌리고 싶어진다. 

그렇다고 이 책이 인간의 나약함과 무기력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최악의 절망 속에서도 공동체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에게 의지하며 희망을 이야기하는 집단을 보여준다.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은 여자를 등장시켜서 우리가 진정 보지 못하고 있는 인간의 본성을 목격하도록 하면서 그 반성의 결과로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무한한 희생을 베풀고 그 과정에서 인간성 회복의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의 결말은 그래서 눈물나게 고맙다. 

왜 눈이 멀었는지 이야기 하지 않는다. 왜 그 여자만 눈이 멀지 않았는지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우리는 이미 눈이 멀었는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는 눈 먼 사람들. 그들이 바로 지금의 우리의 모습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문장부호 하나 없이 단락의 구분도 없이 쉼없이 몰아치는 문체 속에서 독자는 끝없는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다. 어쩌면 작가는 문장부호가 우리에게 강요하는 어떤 감정도 독자에게 강요하기 싫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누가 이야기하는 것인지 물어보는 것인지 대답하는 것인지 구별하기 힘든 문장속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하나씩 분리하다 보면 어느새 작가의 의도를 따라가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