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책들의 도시 - 전2권 세트
발터 뫼르스 지음, 두행숙 옮김 / 들녘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책 카페 회원들이 다들 재미있다고 하길래 호기심이 발동.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더니 본문의 내용이 딱딱하게 보였다.  

독일 소설에 대한 선입관도 있고 해서 우선 근처 서점에서 한번 읽어 보았다.  

예상외로 재미있었던 책. 결국 인터넷으로 바로 주문하고 읽기 시작. 
 

 

처음에 책을 펼치면 미텐메츠 특유의 발칙한 말투에 당황하게 된다.  

책을 읽어나가면 미텐메츠의 말투가 그럴 수 밖에 없다는 공감이 가지만 처음에는 잠시 당황.  

그러나 그의 말투에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그가 하는 이야기들이 꿈처럼 펼쳐진다.  

죽음을 앞둔 대부시인이 맡긴 하나의 원고에서 시작된 이야기는  

부흐하임과 그 지하세계로 연결되면서 기발한 상상력과 가슴 졸이는 모험담과  

한 천재작가의 슬픈 운명이 뒤엉키면서 마지막 페이지를 닫을 때 까지 책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출퇴근 시간에만 책을 읽는 나같은 경우에도 책 내용이 너무 궁금해서 저녁에 게임을 포기하고  

책을 집어들 정도로 몰입도가 상당하다.  

중간중간 나오는 딱딱한 내용들과 우리에게는 낮선 독일식 이름에 읽어나가기 힘든 부분들도 있지만  

지겨워 질 만 하면 다시 전혀 뜻밖으로 전개되는 상황과 미텐메츠의 모험이 지루함을 순식간에 날려 버린다.  

특히 내가 재미있었던 것들은 차모니아 문학을 이루는 작품들의 제목이었는데  

그 하나하나에 - 물론 모두 작가의 상상이고 실제로는 없는 책이겠지만 - 작가의 기발함이 넘쳐난다.  

책 제목만 읽는 것으로도 저절로 웃음이 난다. 
 


 

이야기는 쉽게 읽을 수 있는 모험담의 형식을 빌리고 있지만  

그 안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단순하지 않다.  

작가는 미텐메츠의 이야기를 통해 문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작가를 대하는 출판사와 업주에 대해 이야기 하고  

인터넷이라는 익명성 뒤에 숨은 독자들을 이야기 하고 - 물론 좋은 쪽으로만 -  

잊혀져가는 걸작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작가적 성공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그저 몸집만 큰 괴물 정도인 공룡을  

최고의 시인의 자질을 가진 주인공으로 삼은 거도  

어쩌면 단지 문학을 접한다는 것만으로 우쭐대고 자랑스러원하는  

작가나 독자들에 대한 비판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야기를 다시 정리해 보면 최고의 재능을 가진 작가를  

출판업자들이 자기들에게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최악의 구렁텅이로 몰아내버리고  

그를 기억하는 재능있는 신인작가마저 같은 방식으로 밀어내 버리지만  

보이지 않게 숨어있는 독자들과 문학을 사랑하는 이들의 힘으로 다시 일어나  

부패한 출판업자들을 밀어낸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이야기를 이런 식으로 만들었다면 참 따분했을 것 같은데  

작가의 상상력이 이야기에 활력을 불어 넣은 것 같다.  

중간중간 따분한 부분이 좀 있기 때문에 100점을 주지는 못하겠지만  

읽는 동안 너무도 즐거웠기에 95점은 충분히 될 것이라 생각된다.  

소장가치도 그 정도는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