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의 평전
나채훈 지음 / 북오션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삼국지는 중국의 영웅호걸의 역사소설이다. 사실을 조금 씩 비틀어 얘기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였다. 특히 사마의는 제갈량과 많이 비견되어 왔다. 


 제갈량이 유비의 신적인 참모였다면 사마의는 조조가 죽기전 눈을  감으면서 후손들에게 '경계하라'고 할만큼 차갑고 냉철해서 속을 알 수 없는 참모였다. 


 4대에 걸쳐 조조일가의 핵심 인재로 지내다 결국은 쿠테타로 삼국을 통일 하였다. 그 중심에 사마의의 염원이 깊이 뿌리내려져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종의 고백, 임금 노릇 제대로 하기 힘들었습니다 군주 평전 시리즈 4
송재혁 지음 / 푸른역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종의 고백>(푸른역사)를 먼저 읽고 다음에 이 책을 없어도 좋다, 아니면 <세종평전>(경세원)를 읽고 이 책을 읽어도 좋다. 가독의 다른 맛을 느끼게 된다. 특히 모호한 표현이 무엇인가를 짐작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종평전 - 대왕의 진실과 비밀
한영우 지음 / 경세원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편년체를 따라 서술되었으나, 각 시기의 주요 사건을 주제로 부각시켜 정치, 외교, 국방, 과학,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분야를 빠짐없이 망라했다. 세종의 진실과 그비밀을 더 넓은 시야에서 새롭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균형감 있는 글의 전개는 저자가 직접 이야기를 들여주는 말씨와도 닮은 듯하다(저자는 방송 출연도 했었다). 급하지도 않으며 친절한 촘촘함이 주는 편안함이 있다. 책의 두께와 다르게 술술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든
헨리 데이빗 소로 지음, 한기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없는 곳으로 들어가 홀로 기도했다는 말씀이 있다. 홀로 숲으로 들어가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인물도 있다. 에드바르 그리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싯다르타 가우타마, 헨리 데이비드 소호 등, 평범한 사람들도 산으로 들어가 홀로 산다. "나는 자연인이다".


 사람의 씨족사회가 형성되면서 사람의 문명이 발전하였다. 새롭게 자연을 인식하는 것은 새로운 관념과 사실을 형성한다.


 홀로 숲으로 들어간면 무엇을 하고 무엇을 즐길 수 있겠는가? 또한 자신을 마지막까지 지켜 줄은 책은 어떤 책일까 싶다.


 그 어떤 청춘남녀가 이 야생적이고 풍요로우며 아름다운 자연과 호흡하고 있는가? 자연은 그들이 사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저 혼자 번성한다. 그런 자연을 놔두고 천국을 논한다는 것이야말로 이 지상을 모욕하는 일이다.


 "나는 내가 바라보는 모든 것의 주인이니,

 내가 그곳에 있는 권리를누가 뭐라고 할 수 없도다" 

  (영국시인 월리암 카우퍼, 1731-1800)


 "농장을 구할 생각이라면 탐욕스레 냉큼 사들일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서 잘 궁리햐한다. 또한 애써 농장을 돌아볼 것이며 

  그저 한 번 돌아보았다고 해서 충분하다고 여겨서도 안 된다. 

  좋은 농장이라면 자주 갈수록 그만큼 더 많은 기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올드 카토, 로마의 농경 저술가, BC 234-149)


  숲에서의 모든 변화와 흔적을 체감하는 소로는 진정 숲의 명상가이다. 그 미세한 자신의 감각의 수용체를 리얼하게 이야기 한다. "(1858년11월8일의 일기) 자연의 각 단계는 아예 보이지 않는 단계는 아니지만, 그래도 아주 선명하거나 눈에 잘 띄지는 않는다. 찾아보면 발견할 수 잇으나, 우리의 주의를 끌어당기지는 않는다. 혼자 있을 때의 장점을 누리게 해 주면서도 조용히 공감해 주는 길동무 같다. 우리는 그와 함께 있으면 걷고 말하고 침묵할 수 있으며 , 낯선 곳에서 긴장할 때도 굳이 대화를 나눌 필요가 없다.


  "월든"을 읽다보면 긴 문장의 시를 읽는 느낌이다. 단어와 단어의 의미를 약간 비툴어 놓는다던가, 구절과 구절을 바꿔 놓지만 의미의 흐름은 순방향이다. 반짝이는 물비늘처럼 알 듯 ,모를 듯, 잡힐 듯 하다. 독자의 경험과 독서분야 저마다의 수용체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2309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를 좀 읽다 "세상을 보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10명의 물리학자" 를 사게 되었다. 과학을 비과학자가 어떻게 느끼고 자기화 시키는지 궁금했다. 


 작가는 충분히 내 의문에 대해 말해 줄 수 있으리라 확신했다. 그는 외부의 지식이나 감성이 어떤 경로를 통해 자신에게 안착되는지를 독자가 느낄 수 있게 글을 쓴다. 


 "나는 인간의 언어로 과학을 가르쳐 주는 '과학커뮤니케이터'를 은인으로 여긴다. 그분들 덕분에 문과의 슬픔을 덜 느끼면서 과학을 공부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