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탐정 정약용
김재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그 도전장, 내가 받아주지.[유랑탐정 정약용]

 

김재희 작가님의 신작이네요.

얼마 전, 경성탐정 이상 시리즈 3권이 나온 걸 알고, 1권부터 정주행 했었는데요~

모던 보이 이상과 바가지 머리 박태원이 거닐던 경성에서 벗어나 이번에는 조선으로 슝~ 시간여행하는 기분입니다.

경성탐정 이상에서는 이상과 박태원이 셜록과 왓슨 콤비에 대응되는 인물이었다면, 이번 유랑탐정 정약용에서는 삼미자 정약용과 훤칠한 꽃미남 스타일의 이가환이 등장하네요.

아직 경성에서 벗어나기 싫었지만 새로운 명탐정 콤비의 등장을 어서 빨리 보고 싶은 마음에 재빨리 찜했답니다.

현대물도 잘 쓰시지만 시대물에 있어서도 치밀한 자료수집, 유연한 인물창조, 박진감 넘치는 플롯 등 어느 한 군데 빠짐 없어 너무 흥미로웠네요.

뭐랄까, 정약용이 내가 알던 정약용인 듯 또 아닌 것 같은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어서

적절한 조화를 이루었답니다.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인물 설정이긴 하지만 정조가 다스렸던 그 시대 조선의 분위기 속에 잘 녹아들어 있으면서도 유니크한 면이 있어 내내 긴장감을 잃지 않았던 것 같아요.

가령, 1장의 에피소드는 정약용이 집필한 [흠흠신서]의 '상형추이' 장에 기록되어 있는 인체 자연발화 사건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이야기로 조선이란 시간 속으로 훅 빠져들 수 있었던 장치로 탁월했다 생각합니다.

뒤편으로 갈수록 잔인한 연쇄살인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면서 의문의 '진'이란 인물과 대치하게 되는데요, 거기서는 오롯이 한 명의 사상가와 실천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시대와 이상의 괴리 속에서 괴로워하는 한 인간의 모습이 나타나서 너무나 입체적으로 떠올랐답니다.

 

원래 정약용과 이가환은 스무 살 차이가 나지만 소설에서는 일곱 살 차이로 설정했다고 해요.

십 대 소년 삼미자 정약용과 꽃다운 나이의 미남자 이가환이 이루어내는 케미 덕분에 첫 장부터 설레었다지요.

 

세월이 흘러 정조로부터 어사 임무를 받은 정약용은 백성들을 살피기 위해 마을을 암행하며 돌아다닙니다.

연천에 이르러 잔혹한 연쇄 살인 사건과 마주하게 된 정약용.

물속에서 부패한 영아, 거중기에 매달린 남자, 배 한가운데에 꿰맨 자국이 있는 남자.

그 시대에 배를 가르고 장기를 꺼낸 '수술' 집도의 흔적이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었습니다.

약용은 거중기에 매달린 남자에게서는 의문의 '암호'를 접하고 과거의 오랜 기억을 끄집어냅니다.

갈매기처럼 휘어진 짙은 눈썹, 선연한 눈빛, 길게 뻗은 콧날.

'진'이라는 이름만을 남기고 훗날을 기약한 채 사라졌던 남자가 떠오른 것입니다.

 

'진'은 일부러 약용을 암호로 꾀어 불러내고, 진의 도발에 약용은 호기롭게 도전장을 받아들이죠.

이제부터 흥미진진한 선과 악의 대결이 펼쳐지고 무녀와의 가슴 아릿한 사랑도 한 축을 이루며 끼어듭니다.

하지만 선과 악으로 가르기엔 답답하고 막막한 시대를 밝히려는 이들의 의지가 너무도 굳세어서 이쪽저쪽 왔다갔다 하는 사이에 '악'으로 규정짓고 있던 것이 스르르 무너져내립니다.

 

'진'은 바로 생명의 태동을 말하네. 움직이는 것, 깨어나는 것, 천지개벽하는 것. 그게 바로 진일세. 그리고 우리를 기만한 그 남자는 이 세상을 뒤바꿀 천재이거나, 천하에 둘도 없는 악마일 걸세.-207

 

그들이 바라던 진정한 세상, '대동'이란 것을 우리는 지금 이 시대에 비로소 맞이한 것일까요?

시체를 검험하고 사건의 앞뒤를 하나로 꿰기 위해 추리를 하고 몸을 재빠르게 움직여 사건의 한가운데로 훌쩍 뛰어드는 정약용을 따라가다 보면 오리무중 속을 헤치고 나가는 듯한 두려움과 함께 통쾌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록 속시원한 결말은 아니지만 지금의 현실을 한편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미래도 설계해 볼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고요.

 

아~

모던 보이와 모던 걸이 향유한 시대 이전의 '조선'이라는 사회에서도 갈등은 존재하고 그 갈등을 파고들어 사회를 송두리째 바꿔보고자 하는 열망은 존재했구나.

사건이 일어나면 어디선가 나타나 척척 교통정리하듯 질서를 세워보려는 '명탐정'도 나타났겠구나.

우리에게 익숙한 이상과 정약용이 아니면 어떻겠습니까.

그런 희망 하나 붙잡으려고 이렇게 추리소설에 탐닉하게 되는 것 아닐까요.^^

정약용 시리즈 다름 편도 기대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