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미 배드 미 미드나잇 스릴러
알리 랜드 지음, 공민희 옮김 / 나무의철학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심리스릴러 소설 [ 굿 미 배드 미]

 

 

 

"어제까지는 엄마의 인형이었지만 오늘부터는 당신의 심판자야..."

 

열다섯 소녀의 섬뜩한 읊조림에 동공 확장~

소녀 애니는 엄마를 경찰에 신고한다.

죄명은 열 명 정도의 어린이들 납치, 감금, 살해다.

 

위로 여덟 계단, 그리고 또 네 계단

문은 오른쪽에 있다.

 

엄마는 아동 보호소에서 일하는 간호사였다.

아들을 잃은 뒤, 보호소의 아이들을 한 명씩 집으로 데리고 와 '놀이방'에 감금해두고 은밀한 놀이를 벌인다.

애니가 보기에 그것은 감금, 학대, 그리고 살해에 다름아닌데...

어마어마한 심리적 압박과 신체적, 정신적 학대가 애니에게 가해진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엄마를 경찰에 신고하고 심리학자인 마이크의 집에 임시로 입양된 애니는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이름을 밀리로 바꾼다. 마이크의 집에 도착한 밀리는 즉시 집안의 분위기를 훑어보고 적응하기 시작한다. 마이크의 아내는 신경병을 앓은 전적이 있으며 젊은 요가 강사와 불륜을 저지르는 중이고, 밀리와 동급생이 된 피비는 밀리에게 부모의 사랑을 빼앗겼다 생각해 밀리를 공격한다.

남달리 불안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피할 것만 같았던 밀리는 그러나 임시 보호 가정에서 주도권을 잡으려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마이크에게는 학대 가정의 피해자인 척, 연약한 모습으로 자신을 가리지만 다른 가족들에게는 숨겨진 발톱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굿 미, 배드 미.

어떤 쪽이 밀리의 진짜 얼굴일까?

엄마를 신고하고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 엄마를 다시는 사회에 나오지 못할 거라고 칼을 갈고 있는 마음 한켠에선 엄마를 그리워하거나 엄마의 잔혹한 가르침이 쓸모있다며 고개를 끄덕이곤 한다.

스스로 벌이기 시작한 게임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다 계산하고 행동하고 있는 것일까?

자기 존재를 들키고 싶어 하지 않는 지하 세계의 여왕에게, 평범한 모습이지만 내면에 악마를 키우는 엄마에게, 사이코패스의 뇌는 보통 사람과 다르다. 나는 내게 주어진 확률을 생각해 보았다. 80퍼센트가 유전이고 20퍼센트는 환경적 요인이다.

그러니 나는,

100퍼센트다.

 

-104

 

안도감과 편안함을 주어야 할 엄마라는 존재가 연약한 어린 아이의 영혼에 낸 상처는 아주 오랫동안 남아 있다.

감응성 정신병. 밀접한 두 사람이 유사한 정신 장애를 지니는 것. 부정하고, 조종당하고, 거짓말하고.

 

엄마와는 다른 사람이라는 인정을 받고 싶어했지만 결국 밀리는 스스로의 인생을 선택하지 못하고 그냥 엄마와 똑같은 삶을 살게 되는 걸가?

 

더이상 착한 척하는 데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잡히지 않는 것에 흥미가 생길 뿐. -401

 

불안불안하게 자신을 부여잡고 있던 밀리가 결국 끔찍한 일을 저지른 뒤 내뱉은 싸늘한 말이

보는 이의 핏기를 싸악 가시게 한다.

한여름 더위를 물러가게 하는 오싹한 심리 스릴러.

 

 

 

 

 

 

 #심리스릴러,#굿미배드미#여름소설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