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을 따라 유럽의 변경을 걸었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그들을 따라 유럽의 변경을 걸었다 - 푸시킨에서 카잔차키스, 레핀에서 샤갈까지
서정 지음 / 모요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과 인문의 결합 [그들을 따라 유럽의 변경을 걸었다]

 

일반적인 여행책들은 이제 넘쳐난다.

여행을 꿈꾸는 사람들은 여행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일상에서의 도피, 색다른 경험.

여행지에서의 독특한 사유.

이것들은 여행을 떠나갔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왔을 때

사람들에게 다만, 현실에서의 일탈을 경험하고 왔다는 만족감만을 선사할 뿐이다.

여행은 언제나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에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서 뿌리내리고 살고 있는 사람의 경험담은

여행기가 될 수 없는 것일까?

그는 또다시 일상으로 복귀하게 될 터이지만 여기저기 나풀거리며 살아온 탓에

디아스포라적 삶에 젖어 있다고 생각한 사람의 "지금, 여기"는 또다른 '여행'의 묘미를 선보여주지 않을까.

 

서정은 독특한 화자이다.

서울 출생이지만 모스크바에서 정치문화를 공부했고 러시아에 한참 정착한 뒤에 여행의 맛을 알게 되어 조금씩 서쪽으로 이동하며 유럽을 살폈다고 한다.

그녀가 밟은 땅의 이동경로도 흥미롭지만 그 기록의 깊이와 넓이 또한 "평범한" 것은 아니다.

 

여행은 내게 낯선 것 가운데 낯익은 아름다움을 확인하며 불안을 넘어설 힘을 얻는 계기로 지각되기 시작했다. 그것이 불안을 온전히 규명하게 되지는 못할지라도, 무력한 시도에 머물지라도.--7

 

서양을 이해하는 첫걸음으로 러시아를 택했다는 작가는 다시 그 러시아라는 창문으로 유럽을 바라보았다. 유럽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변두리를 기회가 될 때마다 밟고 다녔다.

그 과정에서 만나게 된 인물들이 도스토옙스키, 고흐, 쇼팽이었고,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만나게 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된 샤갈, 카잔차키스였다.

작가는 여행을 인문과 결합시키면서 여행을 불안의 실체를 찾아가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작가의 여행기에서 일단은 새로운 문화를 접하게 되어 기쁘다.

매주 혹은 한 달에 한두 번, 시간 날 때마다 푸시킨 미술관, 톨스토이 뮤지엄, 바스네초프 아틀리에 등을 산책 가듯 다니는 러시아인들.

소비에트식 교육의 영향으로 러시아인들은 어린 시절부터 지식인과 예술가의 발자취를 더듬는 일을 평생에 걸쳐 반복한다고 한다.

그 곳에서의 생활에 길들여진 탓에 가는 곳마다 작가와 사상가, 화가와 음악가의 삶을 시간여행하듯 되짚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렸다는 작가.

그래서 그의 글은 도시에서 지식인과 예술가들의 체취를 느낀 이야기로 시작해서 점점 확대되어 나가는 경향을 보인다.

그것이 이 책이 다른 여행기와 구별되는 신선한 점이다.

 

 

러시아어의 섬세하고 풍부한 운율을 느껴보려는 모든 노력은 끝내 푸시킨으로 통한다. (...)

러시아인들은 술자리의 시작과 끝을 적절한 시 한 수 던지는 것으로 열고 맺는 것이 몸에 배어 있다. -13

 

풍부한 문학적 토양을 자신들의 문화적 우월함으로 여기고 그것을 한껏 누리는 모습이 부럽다.

 

어느 날 교실 발표회 때 아이가 외운 여덟 줄짜리 짤막한 시는 어휘의 선택과 배치의 절묘함, 일상어가 지니는 리듬감의 극대화를 통해 완벽한 세계를 이루고 있었다. 언어 감각을 깨치기 시작할 무렵부터 잘 조합된 단어들을 지속적으로 외우면서 세상을 발견할 채비를 갖추는 것이다.-14

 

시인 푸시킨의 서재를 둘러보며 한 편의 시 같은 한 천재의 사연을 이야기하고...

도스토옙스키의 마지막 집을 방문하고 작가의 불안한 인간상을 떠올린다.

 

러시아에서 작가의 위치는 프랑스나 독일의 경우와 좀 다르다. 러시아의 작가들은 계몽주의적 사명을 띤 교사이자 비판적 저널리스트이며 거의 유일한 지식인 그룹이었다. 특히 20세기 이전에는 -작가는 사상가와 다름없었다.-44

 

시대와 불화한 시인 안나 아흐마토바 기념관을 나서며 모딜리아니가 직접 그린 그녀의 스케치를 보고 시대의 뮤즈였던 그녀를 회상한다.

 

사랑스러운 아내 벨라와 하늘을 날아다니는 모습을 떠올리게 되는 샤갈이 러시아와 연관이 있었나?

 

고골이 러시아를 사랑하는 동시에 증오했던 것처럼, 샤갈 또한 그랬다. 노예적 심리 상태로 자의식이 졸고 있었던 러시아, 비극적 가락을 덮어버릴 유머 감각을 지닌 존재가 그들의 러시아였다. 이야기를 이미지로 새롭게 해석하는 일을 즐겼던 샤갈은 고골 외에도 셰익스피어와 라퐁텐의 작품에 삽화를 그려 넣었다. -170

 

러시아를 벗어나 베를린의 어제와 오늘을 짚어보고, 괴테를 통해 문예 도시의 면모를 바이마르에서 찾는다. 남프랑스에서 고흐의 절정의 순간을 떠올리고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토마스 만을 회고한다.

그리고 마침내 카잔차키스의 조르바, 그리고 그리스에서 어떤 자유와 조우한다.

 

 

인간 의지에 대한 결의에 찬 확신 같은 것을 가질 수 없는 나같은 사람조차 카잔차키스의 저 흔적을 더듬는 묘사에는 금세 무장 해제 상태가 된다. 피할 곳이라고는 아예 없는 한낮의 폐허에서 맞이하는 정적, 그 속에서 망자를 불러일으키고 정신의 높이에 가닿는 것이야말로 진정 그리스적이지 않은가. -355

 

여행을 떠난다면...

머리를 비우러 가는 것만 생각하지 말고

새로운 곳에서 낯선 이를 만나는 것의 시간과 공간을 넓혀

인문학과의 조우도 고려해보면 좋겠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