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음
조르조 아감벤 지음, 김영훈 옮김 / 인간사랑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아감벤의 사유를 들여다보다 [벌거벗음]

 

 

[벌거벗음]은 얼핏 자극적인 제목에 혹할 만하지만 막상 펼쳐보면 철학적 사유가 많이 모자란 내가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인 책이다.

 누드의 여인들을 보며 이렇게 아무런 감흥 없이 경직된 표정을 짓게 될 줄이야...

2005년 4월 8일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에서 바네사 비크로프트의 퍼포먼스가 열렸다. 관객들의 앞에는 백 명의 벌거벗은 여인들이 (사실은 투명한 팬티스타킹을 입은 채) 태연한 표정으로 가만히 서 있었다.

책에는 사진이 실려 있지만 저 표지 속의 자그마한 형체들을 보는 것으로 궁금증을 대신 해결하셔야겠다. ^^

 

벌거벗은 여성들뿐만 아니라 방문자들도 관찰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받은 첫인상은 이곳이 어떤 비장소라는 것이다. 일어날 수 있었던 어떤 일이, 그리고 아마도 일어났어야만 하는 어떤 일이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다. -94

 

아감벤은 이 퍼포먼스가 인간 육체의 벌거벗음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고 했으며, 신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사유의 과정 속에서 자신만의 해석을 펼쳐나간다.

 

우리가 벌거벗었다는 지각, 혹은 벌거벗음이라는 개념은 오로지 타락 이후에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아담과 이브는 천국에서 옷을 입지 않았음에도 결코 벌거벗지 않았다. 실상 그들은 은총이라는 옷을 입고 있었던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인간이 벌거벗음을 지각하게 된 것은 인간이 은총과 갖는 관계에 어떤 변화가 발생했다는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벌거벗음의 문제는 인간 본성과 은총이 갖는 관계의 문제이기도 하다. -역자 후기 중.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 연작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이다. '예외상태', '벌거벗은 삶', '잠재성'과 같은 개념들을 중심으로 펼친 그의 사유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이 책에는 모두 10편의 에세이가 들어 있고 각각은 따로 떼서 읽어 볼 만하며, 철학적 사고가 공고한 이라면 이 10편의 에세이를 묶어 하나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낼 수도 있겠다.

나는 그 중 7장 <벌거벗음>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았는데, 신학과도, 철학과도 접점이 그다지 많지 않아서인지 난해하게 여겨졌다.

 

인간 본성은 이 은총을 받는/입는 막연한 존재인 '벌거벗은 육체'로 가정된다. 그러나 이 근원적인 벌거벗음은 은총의 옷 아래서는 곧바로 사라지고 오로지 죄의 순간, 즉 벌거벗겨진 순간에 타락한 본성으로 다시 나타난다. 정치신학의 신화소인 호모 사케르는 불순하면서도 성스러운, 그렇기에 살해할 수 있는 벌거벗은 삶을 전제로 상정된다. -107

 

 

 

벌거벗는다는 것이 그저 부끄럽고 죄책감이 드는 행위라고만 생각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본성과 연결지어질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아감벤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에 대해 알게 된 유일한 내용은 벌거벗음이라고 말하면서 이 지식의 첫 번째 대상이고 내용인 이것, 우리가 벌거벗음이라 부르는 이것이 무엇이냐라는 물음을 던진다. 우리는 벌거벗음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는가? 

철학적 사유가 우리 삶에 들어오게 되는 순간 한 차원 성숙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제는 어렴풋이 깨달을 수 있겠다.

철학자들의 생각의 흐름을 제대로 좇을 순 없지만 따라 가려 노력하다 보면 이전의 나와는 조금 다른 내가 버티고 서 있음을 알게 될 것만 같다.

벌거벗음 이라는 행위,단어 하나에 대한 생각만도 조금은 넓고 깊어진 듯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