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여동생
고체 스밀레프스키 지음, 문희경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미로 속에서 찾은 아돌피나 프로이트의 일생 [프로이트의 여동생]

 

 

 

살아야 하나, 죽어야 하나?

 

구스타프 클림트의 화려한 그림을 표지로 한 이 책은 <Death and life> 라는 제목답게 삶과 죽음의 이중주를 솜씨 있게 버무려 놓는다.

책 전체의 주제를 관통하는 그림으로 표지도 훌륭하지만, 각 장이 시작하는 곳마다 보게 되는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 <멜랑콜리아> 또한 압도적인 이미지를 제공한다.

 

 

 

우울증을 형상화한 인물의 얼굴은 그늘 속에 들어가 있고, 두 눈의 흰자위가 그늘 속에서 반짝인다. 그녀의 시선은 아무도 없는 어딘가에 꽂혀 있다.

소설 속 중요한 장소인 정신병원 <둥지>에서 생활하는 아돌피나의 표정이 꼭 저러하리라 상상하게 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을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 인물인 그에 대해 학문적 호기심 이외에는 품어 본 적이 없었지만, 프로이트가 아니라 프로이트의 여동생을 주인공으로 한, 실존 인물이 주인공이 된 소설을 읽자니, 묘한 기분에 사로잡히게 된다.

유명 인물에다 석학이라면 도덕적 삶에 있어서도 남다른 철저함이 있으리라 생각하게 되지만, 거기에 부합하는 완벽한 인물은 거의 없다. 사실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은 “사실”임을 전제로 하고 내용을 전개하기에, 무작정 허구려니 하고 넘길 수만은 없는 진지함을 기저에 깔고 있다. 프로이트가 쌓아올린 학자로서의 이미지에 금이 갈 것을 각오하고 이 책을 읽어야 하리라...

프로이트의 편지에는 아돌피나가 어머니에게 학대당하고 성인이 된 후에도 부모와 함께 살면서 돌아가실 때까지 돌봐주었고, 평생 외롭게 살았다는 점이 명기되어 있다. ‘누이 동생 중에서 가장 다정하고 착한 동생’이라고 불렀으나 프로이트의 가족들은 아돌피나를 무시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불쌍히 여긴 느낌도 든다. 여기까지가 사실이고, 히틀러 정권을 피해 런던으로 망명한 프로이트 일가가 끝내 누이동생들을 저버린 이후의 이야기는 역사에 남아 있지 않다.

 

그 공백 상태의 아돌피나가 작가의 상상력을 덧입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는 바, 아돌피나의 삶은 그리 호락호락하지만은 않았다.

손주까지 있었던 늙은 양털장수 야곱을 아비로. 늙은이에게 시집오자 곧바로 현실에 적응해 꿈도 접고 눈물도 잊은 채 살았던 아멜리에 나탄존을 어미로 하여 지그문트, 안나, 로자, 마리, 아돌피나, 파울리나, 알렉산더는 차례차례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몸이 약했던 아돌피나는 엄마로부터 “널 낳지 않았으면 좋았을걸.”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그녀의 삶이 시작하는 순간에 사랑과 미움이 있었고, 그녀의 삶이 끝나는 순간까지 이 둘의 감정의 교차를 시시때때로 느껴야 했다. 몸이 약해 학교에 가지 않는 대신 오빠 지그문트로부터 공부를 배우며, 오랜 시간 붙어있었던 그녀는 지그문트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품기도 했다. 엄마들이 딸들에게 남편에게 복종하라고 가르치던 그 시절, 그녀는 첫사랑 라이너로부터 상처를 받았고 그녀의 아기는 태어나지 못한 채 그녀의 방 벽에 핏자국으로 남았다. 생명을 낳지 못한 여자가 되었다는 자책감은 그녀를 정신병원 <둥지> 속으로 숨어들게 만들었고, 클림트의 누나 클라라와 함께 하는 <둥지>에서의 생활 속에 적응하게 만들었다.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광기에 시달리던 많은 이들 가운데, 새 생명을 낳고 싶은 기분 좋은 고통과 강렬한 갈망에 괴로워하던 아돌피나가 있었고, 유명한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의 누나로, 시대를 앞서갔던, 성의 평등에 앞장서고 최초로 바지를 입었던 선구적 여인 클라라가 있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필코 우리 젊은 여자들은 세상과 시대가 우리에게 허락하지 않는 권리를 스스로 쟁취해야 합니다.”

 -81

 

정신병에 시달리며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치료하며 정신분석학의 토대를 마련한 지그문트 프로이트. 그의 여동생 역시 정신병원 <둥지>에서 광기에 시달리며 살았다. 개인적인 심약함과 나약함에 자기 자신을 붙들지 못했던 아돌피나가 프로이트의 여동생이었다는 사실은 굉장히 의미심장하다. 클라라 또한 시대를 잘못 만나 한 개인이 싸우기엔 너무나 힘든 싸움을 시작했다가 일찌감치 좌초당한 셈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그늘이 드리운 그 시절은 누구에게나 암울했을 터이지만, 프로이트의 힘을 빌어 런던으로 무사히 안착할 수 있었음에도 비엔나에 남겨진 아돌피나와 자매들은 더더욱 힘이 빠지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테레진 수용소에서 우연히 프란츠 카프카의 여동생을 만나게 한 시대적 상황보다도, 아돌피나의 개인적 삶은 같은 여자로서 깊은 동정을 자아내게 만든다.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한 여인의 안타까운 이야기가 작가의 힘을 빌어 이제야 제 목소리를 내게 되었다. 태어날 때부터 사랑과 미움의 사이에서 아슬아슬하게 줄다리기를 하다 정신병원을 들락거린 인생이란 참으로 밑바닥을 알 수 없는 슬픔을 느끼게 한다. 프로이트의 여동생이란 이름이 있었지만, 역사의 그늘 속으로 사라질 뻔했던 아돌피나를 미로의 삶 속에서 건져내어 빛을 발하게 한 작가의 노력에 새삼 감사한다.

살아야 하나, 죽어야 하나.

살다가 한 번은 부딪치게 될 이 질문을 앞에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여인의 이야기를 읽어보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