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이윤기의 집필 노트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바깥 날씨는 코끝을 쨍하게 하는 시린 바람이 휘몰아치고 있는데, 지금, 여기. 이윤기의 책[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를 읽고 있는 방 안은 난데없는 열공 모드로 후끈하다. 어려운 말 하나 없고, 오히려 신선하고 팔딱팔딱 살아 숨쉬는 단어들만이 가득한 이 책을 읽는데도 나는 왜 이렇게 열이 나는가. 자칭 조르바 같은 자유인이라 일컫는데도, 어투에서 묻어나는 연륜 때문인지, 나이 지긋한 선생님을 앞에 모셔두고 그 분의 마지막 말씀을 듣고 있는 듯한 마음이 들어서이다. 누가 뭐라는 사람도 없건만 괜시리 옷깃을 여미어야 할 것 같고, 헛기침 조차도 조심스럽게 숨죽여 해야 할 것만 같은 무게가 방 안을 가득 채우고 있다. 아무도 없이, 단 둘만의 독대. 따뜻한 차 한 잔만을 두 손에 모아 쥐고 한 마디 한 마디에 귀 기울이느라 귓불이 붉어지고 열기가 차 오른다. 각기 다른 시각에 쓴 글들이 모여 있어도 그의 말은 하나다. “글쓰기란 바로 이런 것이다.”라는 것.

 

소설가, 번역가, 신화 전문가.

책에서는 이윤기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었다.

 

나는 <그리스인 조르바>의 번역가로 이윤기를 처음 접했었다. 너무나도 유명하여 안 읽은 이가 없을 것 같던 그 책<그리스인 조르바>를 나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끝내 외면하고 있었는데, ‘읽어야 해, 조르바를 모르고 이생을 살아나가기는 틀린 것 같지 않아?’ 라는 마음 속의 꼬드김에 넘어가 결국 조르바를 집어 들고 말았던 것이다. 그리고는, 왜 이 책을 안 읽고 있었던 거냐? 라고 물었을 때, 그 이유는 아마도 <희랍인 조르바>로 번역되었던 책의 제목 때문에 내 마음 속에 거부감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참으로 고지식한 답변이 튀어나왔다. 다른 무엇보다도 “희랍인”이라는 말 하나가 손톱 옆에 자리한 거스러미처럼 신경에 거슬려서 백 마디의 찬사로도 모자랄 고전을 나이 서른이 넘어서야 읽게 되었다는 것이 나자신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지만...그랬다.

제목의 번역 때문에 책을 집어 들기 조차도 싫었던 것이다.

<희랍인 조르바>는 안되고, <그리스인 조르바>는 되고.

죽을 때까지 조르바를 만나지 못할 수도 있었는데, 이윤기가 내 마음의 장벽을 스르륵 벗겨내었던 것이다.

“희랍인”을 “그리스인”으로 바꾼 것은 그야말로 내게는 작은 기적이 아닐 수 없었다.

그래서 제목 하나로도 책을 만날 수 있게도 없게도 하는 번역가의 힘이 그렇게도 중요한 것임을 이윤기를 통해 알게 되었었다.

 

둘이서 벌인 사업이 거덜난 날 우리는 해변에 마주 앉았다. 조르바는 숨이 막혔던지 벌떡 일어나 춤을 추었다. 그는 중력에 저항이라도 하는 듯이 펄쩍펄쩍 뛰어오르면서 소리를 질렀다.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되살려내고 싶었던 자유인의 모습이 이윤기의 번역을 거쳐 내 앞에 고스란히 되살아났다.

 

“번역은 한마디로 ‘말의 무게를 다는 것’이다. 저울의 한쪽에 저자의 말을 얹고 한쪽에는 번역어를 올려놓는 일이다.”-133

 

그 뒤에는, 어머나! 번역가로 알고 있던 이윤기가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펴냈더랬다. 궁금한 마음에 혹은 아는 이름에 반가워서 덥석 그의 책을 사보았다. 중학생 때 토마스 불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를 단숨에 읽어 제끼며 그 길었던 이름들과 헷갈리는 그리스식, 로마식 이름들을 따로따로 구분하며 외느라 힘들었었지만, 신화의 황홀함은 그 번거로움까지도 달콤하게 만들었었던 기억이 남아 있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한 권으로 축약해서 읽었던 신화 속 신들의 이야기에 살을 붙여 좀 더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실제 답사로 담아낸 사진들이 크게 한몫했고,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이윤기의 입말이 신들을 가까이 느끼게 해주었다. 그가 강조하는 껍진껍진한 입말 그대로...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영어판을 중역한 것인데, 철학자 강유원 박사로부터 오역을 260여 군데 지적받고 바르게 손보았다 한다. 번역자로서 아픈 지적이었을 텐데도 오독과 오역을 번역가의 숙명으로 알고 받아들이는 겸손한 자세를 견지했던 이윤기. 그는 글쓰기에 있어서 실패를 축하하고 거기에 더해 바닥을 박박 기어보라고 조언한다. ‘메덴 아간’이라는 그리스어를 ‘만사에 지나침이 없게 하라’라고 번역하는 데 그치지 말고 ‘과유불급’이라는 잘 익은 우리말로 옮기는 데까지 이르러야 한다고 말한다. 문학을 하지 않을 수 없어서, 인생이 그렇게 풀려서 글을 썼으나, 그는 이렇게 자조한다.

 

나에게 이 세상 삶의 현상은 거대한 원어 텍스트, 내가 부리는 언어는 ‘원어를 고스란히 재생새킬 수 없는 운명을 타고난 역어’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나의 선조적 언어로써 원에 가까운 원융한 진리의 세계를 그려낼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나는 단지 한 점만을 건드리고 지나갈 수 있을 뿐이다. -25

 

나는 기껏해야 이윤기의 <그리스인 조르바>, <그리스 로마 신화>, <장미의 이름>을 읽었을 뿐이라 이윤기를 뭐라 평가할 수가 없다. 그저 내가 읽은 텍스트 안에서 그를 이해하고 있을 뿐이었는데, 언어 천재라 불리는 그의 집필 노트를 읽고 나니, 참으로 대단한 작가였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평생 자신의 언어를 부리며 살아가야 하는 글쓰는 이, 작가들에게 영혼과 글쓰기의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는 그는 우리 시대 최고의 글쟁이라 일컬을 만하다.

 

책을 읽고 그저 줄거리를 나열하거나 짤막한 감상만을 곁들이며 글을 완성할 뿐인 나의 서평은 이제 걸음마인데, 넓은 세계를 안으로 들이기 위해 번역에 힘쓰면서 올바른 번역의 방법을 모색하고 거기에 철학까지를 더하려고 했던 이윤기는 글쓰기의 전범, 달인, 고수를 뛰어넘어서 이제는 “신”이 되고 말았다. 뛰어넘을 수 없는 산이기도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지상에 발붙이지 않고 있어서 우리는 그가 남긴 집필 노트를 바라보며 배움을 청할 수밖에 없다. 이윤기는 자유인 조르바를 꿈꾸며 펄떡이는 말에 집착했다. 나도 따지고 보면 무작정 책 속으로 파고들어 달래기만 하려고 했던 내 마음 속의 울분을 터뜨리고 싶어서 서평을 쓰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글을 쓰다 보면 불쑥불쑥 터져나오는 그것들을 조금씩 다스리고 단련시키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그렇지만 넘어지고 깨지면서, 마침내는 바닥을 기어 봐야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이윤기의 충고가 그 길고도 길게 이어질 것 같은 단련의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해줄 것 같다. 내 마음에 반창고가 되어줄 것 같다.

 

정적에 휩싸인 채 숨죽여 듣던 일대일의 수업이 끝나자 내 마음엔 반창고 하나가 남았다. 휘몰아치는 바람 소리가 이제야 제대로 귀에 들린다. 휘잉~ 휘이잉~. 스산하고 을씨년스러운 바람이지만 나는 아무 것도 무섭지 않다. 귀한 말을 듣고 나니 마음이 저절로 뿌듯한 탓이다. 따뜻했던 차는 애저녁에 식었다. 책장을 넘기면서 긴장하면 솟아나는 땀 때문에 땀을 닦아내기를 여러 번. 방 안은 따뜻했는데도 손끝은 차다. 다시 보글보글 물을 끓여 차 맛을 음미하고 손을 데워야겠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