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귀환 - 희망을 부르면, 희망은 내게 온다
차동엽 지음 / 위즈앤비즈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망의 귀환>

희망을 부르면, 희망은 내게 온다

 

차동엽 신부는 부드러운 미소 뒤에 차돌같은 단단함을 숨겼다.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서는 힘이 느껴진다.

아침에 일어나 희망 없이 부루퉁한 얼굴로 “또 아침이야?” 하고는 다시 이불 속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에게 자명종 시계보다 더 귀따가운 종소리를 댕댕거린다.

야, 이놈아, 어여 일어나! 해가 중천에 걸렸어 나가서 해를 쬐든지 걷든지, 뭐라도 하든지, 좀 꼼지락거려 보라구!-251

그러면 엄마의 잔소리와 성화에 못이겨 일어나 앉는 게으름뱅이들처럼 겨우 꾸무럭거리면서 마지못해 이불동굴에서 빠져나온다.

한 손을 턱에 괴고 눈을 지그시 감은 채 옅은 미소를 짓고 있는 신부의 얼굴이 눈앞에 보인다.

책을 넘긴다.

아아~연약해 보이는 신부님의 염화미소는 사기였어~

누구보다 강한 의지로 희망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욕이 충천하신 분이었어~

신부님의 내면에서 희망을 얘기하자는 의지가 올라온 것은 사회 도처에서 희망을 구한다는 필요의 목소리들이 들끓고 있다는 반증이었다며 힘차게 희망을 이야기한다.

 

유대인은 희망을 틱바와 야할이라 부른단다.

틱바는 원래 희망을 뜻하는 제일 기초적인 단어로 원래 밧줄을 뜻했다. 희망은 이렇게 붙잡고 늘어지는 것이다.

야할은 ‘희망하다’를 뜻하는 동사인데 내용적으로는 몸부림치는 희망을 가리킨다. 한마디로 우긴다는 뜻이다.

아무 거나 붙잡고 희망이라고 우겨라.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건 우겨서라도 희망을 말하는 지혜를 발휘할 줄 알아야 한다. 사람들이 “망했어!”라고 말할 때 우리는 희망의 이름으로 우겨야 한다. “안 망했어!”

“너 죽었어!” 할 때는 “안 죽었어!” , “너 끝났어!” 할 때는 “안 끝났어!”

 이렇게 우리의 우기기 희망은 계속되어야 한다.

보이지 않아도 일단 “있다!”고 믿고서 박박 우기라는 얘기! 그러면 그놈이 슬슬 얼굴을 디밀 테니까.-65

 

느낌표들이 많이 들어간 임팩트 있는 한 마디 한 마디가 지친 사람들을 일깨운다.

 

단점과 열악한 조건이 오히려 예기치 못한 기회의 장이라는 이 역전적 깨달음!-215

 

우주만상을 창조한 신의 창조력을 인간이 꿈이라는 방식으로 지니고 있다니...그렇다면 꿈을 가진 자는 이미 신적인 잠재력을 작동시키고 있는 사람이라는 얘기!-131

 

강기! 한국인의 기상을 대표하는 백두산과 동해는 하나같이 ‘희망’의 상징이 아닌가!-112

 

희망의 귀환! 희망을 잡고 보니 그것은 바다 건너 이야기 속 ‘큰 바위 얼굴’이었다. 나 자신이 바로 내가 기다리던 사람이다.

나 자신이 바로 내가 찾던 변화다.-312

 

희망이 돌아오는 것이 보이는가?

희망은 멀리 있지 않다.

내 안에 있다.

느낌표 있는 결연한 말투로 희망을 잃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전도사 차동엽 신부.

희망에 관한 지혜를 발품을 팔아서라도 수집하고 안 보일 땐 마구 추적하여 희망향연의 식탁 한 상 조촐히 차린 것이 이 책 한 권이다.

70-80 여 개의 참고문헌이 그가 발품 판 흔적이다.

열심히 차린 것 먹고 힘을 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