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빅터 플랭클의 아우슈비츠에서의 경험을 담은 1부 [죽음의 수용소에서 실존주의로]와 2부 [로고테라피의 기본개념], 3부 [무의식적 신]을 묶었다.
빅터 플랭클은 아우슈비츠로 끌려간 첫날, 고참죄수에게 그가 품에 갖고 온 정신치료 논문을 소각치 않도록 부탁한다. 이 원고는 그에게 가장 소중한 인생의 의미와도 같은 것이었다. 그는 그의 논문과 인간적 대우 모두를 그 순간부터 빼앗기고 벌거벗긴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살아남기 위한 3년을 보낸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가 깨달은 것은 인간의 모든 것이 박탈된 순간 찾아온 [참다운 인간됨]이었다. 살아야 하는 이유, 상대를 존재로 사랑하는 것, 우정, 예술, 웃음... 이 모든 것이, 어느 순간 삶의 끈을 놓으면 죽어야 하는 그곳에서 생생하게 살아난 것이다. 재산, 명예, 학문적, 예술적 성취, 자손... 사람들은 이런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라 믿고 살다가 이것을 잃으면 인생의 의미를 잃어버린다. 아니면 죽을때 잘못 살았다 깨닫기도 한다. 플랭클은 진정 이런 것들이 다 사라진 후에 그 너머에 진정한 인간성의 모습이 존재함을 수용소의 뼈만 남은 모습으로 깨닫게 된 것이다.
그는 인간의 이런 [현상]에 놀라와하고, 살아남게 되자 이를 통해 실존적 인간이해와 그 개념을 정신치료에 적용코자 했다. 인간이 자신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고 그것이 개인적인 것이 될 수 있을때,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포함한 삶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자기 발견은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을 자기것으로 여기게 한다. 자기거부와 무의미성에 대한 허탈감으로 특징지어지는 현대적 정신병리에서 이는 치료의 단초가 된다. 도피와 연관된 신경증들과 자기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무기력한 우울은 [고통이 의미가 있는 인생]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자유와 아울러 책임을 포함하는 인간의 실존의 회복이다. 또한 실존주의 철학과 정신병리학이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그는 또한, 우연에 따라 결정되는 생존과, 이유를 알 수 없는 고통 속에서 도리어 신의 존재를 발견케 된다. 이것을 그는 3부에서 영적 무의식spiritual unconsciousness에 새겨진 신의 존재, 혹은 무의식적 신이라 부른다.그리고 이런 신의 존재를 인정함을 통해서야만 진정 자기 삶의 책임과 의미를 발견하는 무의식으로의 여행이 자기 파괴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정신분석적psychoanalytic 무의식의 탐구가 인간을 어린 시절 성적경험으로 [결정지워진 존재]로 보는 대신, 이러한 이드id의 무의식이 아닌, 인간 안에 존재하는 초월적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영혼의 무의식은, 인간을 [선한 의미를 따르고자하는, 책임감이 가능한 존재]임을 알게 한다는 것이다. 무신론으로 억압된 무의식을 풀어낼때 인간의 영혼의 의미들과 각 개인들의 상황에 부여된 의미들이 드러나게 된다. 이때 다시 삶은 그 자체로 아름답게 빛나는 것, 가치있는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죽음의 앞을 스쳐가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그때 본 것은 인생의 진실한 모습이다. 죽으면 끝이구나, 언제든 죽을 수 있구나, 이렇게 살게 아니구나...죽음이 알려주는 가르침은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이론적 논변보다 더 심오하다. 참된 심오함은 인생자체에서 나온다. 죽음을 느끼는 것은 인생이 의미없다는 주장이 얼마나 이론적인 것에 불과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플랭클은 죽음의 앞에서 인간을 찾았고, 정신병리의 해결이 인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신을 가지고 있으며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향해 대답하는데 있으며, 여기에 또한 인생의 목적이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