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타의 매 열린책들 세계문학 63
대실 해밋 지음, 고정아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0년대의 미국은 하드보일드에 열광했다. 하드보일드 주인공의 인생관을 사랑한 것이다. 쿨앤시크. 돈 몇푼 아니어도 인간을 좌지우지하는 인물. 해밋의 샘 스페이드는 챈들러의 필립 말로보다 한 발 더 나아간다. 여자도 사랑의 감정도 툭툭 털어버리는 쿨가이. 30년대 할리우드 영화들의 험프리 보가트 캐릭터의 탄생이다.  

폭증하는 자본은 인간에게 자신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도달하게 한다. 인생은 즐기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 모든 가치는 돈이 말한다는 인생관. 이 따위 인생은 혼자서도 살 수 있다. 폭증하던 자본은 공황으로 엎어지고, 자본의 몰락은 도리어 이 인식을 더욱 심화한다. 더 돈은 필요했고 돈가치와 함께 인생의 가치도 떨어졌다.결국 주머니 안에 돈이 떨어지는 날까지 끝까지 쿨하게 위험 한 가운데를 걸어가는 주인공이 사람들의 구미와 맞아떨어진다. 돈을 위해선 타인의 희생은 어쩔 수 없다고 말하며, 남의 사랑의 감정을 이용하는 것 쯤이야 쉽게 여기는 악인들은 사실 독자의 일상이다.이 악당들을 한 수 위에서 속이고 비웃는 영웅이 필요하다. 영웅은 슬픈 현실의 투영이다.

해밋이 정작 하고픈 이야기는 그의 인생을 닮은 가족을 버린 어느 남자의 이야기에 드러난다. 어차피 죽는 인생이라면 왜 내가 가족에 매여야 하는가? 그는 가족을 버렸고 어디선가 또 다시 똑같은 가족을 만들어산다. 벗어나려하지만 결국 제자리다. 상처만 주고...사건의 전개와 함께 많은 인물들이 쉬 죽어나간다. 그들은 얼마전까지 나와 얽혔던 사람들. 그들의 죽음으로 골치거리가 없어지기도하고 누명을 쓰기도 하지만 중요한건 그들의 삶이 내 인생에 그닥지 큰 의미가 없었다는 것이다. 대체될 수 있는 부속품과 같이. 타인이 나에게 그렇다면 바꾸어 나도 타인에게그런 존재다. 다른 이를 위해 산다는게 무슨 의미인가? 나만을 위해 살면 되는게 인생이 된다. 추리와 말다툼. 폭력의 충격, 교묘한 속임수의 폭로. 그 재미들 뒤엔 우리네 인생에 대한 [나 혼자 잘나서 살아남아야하는 고독]이 있다. 그래서 하드보일드는 사르트르의 냄새가 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1-10-15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가 있던데 원작이 있었군요.
한번 봐야겠네요.
잘 지내시죠, 카를님.^^

카를 2011-10-15 2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입니다. 잘 지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