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곡 -하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1
단테 지음, 최현 옮김 / 범우사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신곡의 하편인 [천국편]은 상편의 [지옥편]의 원한과 [연옥편]의 반성에 이어, 이 우주적 조감도를 마무리해내며 동시에 얼마남지 않은 자신의 삶을 정리하는 단테의 겸허한 마음이 내비친다. 그는 더 이상 자신의 억울함과 복수에 목소리 높이지 않고 단지 보편적 교회의 철학관에 의탁한다. 그는 이 글을 쓸 즈음인 말년 베로나와 라벤나에서 스칼라家나 노벨로의 보호를 받으며 살았던 처지였다남에게 의지하고 살아야하는 나이듦, 인간조건인 죽음 앞에 선 원래의 모습...차례대로 펼쳐지는 천국의 아홉 하늘을 단테는 의로운 황제, 신학자들, 가난의 성인들,수도사들에 대한 흠모로 바친다. 그가 즐겨 읽었다는 [철학의 위안]중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여신과의 대화를 연상시키는 스콜라 철학적 대화편이 등장하는 것도 그의 이러한 얼마남지 않은 삶을 느끼는 마음낮아짐이 있다성 베르나르에 의한 그의 삶의 완성은 이와 같은 온전한 [귀의歸依]이고 혈기의 잠잠함이며 복수의 칼날을 신에게 내어놓음이다 . 

괴테는 [신곡] [지옥편은 처참하고, 연옥편은 애매하며,천국편은 지루하기 짝이 없다]고 폄하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삶은 한편으론 어찌 그리 닮았을까하는 느낌을 준다. 피렌체의 위대한 시인에서, 시의원을 거쳐 통령의 자리에까지 올랐던 단테. 그는 배신과 모함으로 인해 유랑으로 삶을 마친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유럽에 명성을 떨친 괴테 역시 정치의 길에 들어서게 되고 그의 삶을 고사시키는 추밀관 자리를 박차고 이탈리아로 도주한다단테의 유랑은 [신곡]괴테의 도피는 [파우스트]를 낳았다그들에게 예술의 길은 구원의 상징인 베아트리체와  그레첸처럼  다른 모든 걸 버리고 얻을만한 그들 삶의 이유였고 결국 올바른 길이었다.

괴테가 단테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보지 못했을까이성의 힘과 무한한 발전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18세기말의 그에게단테는 구시대적 [유럽의식]의 잔재에 불과한 인물이었을까? 괴테가 땅을 개간하고 거기에 후손들이 살게 될 때를 그리며 살았다면 단테는 이 땅의 삶이 고스란히 보존되어질 또 다른 사후의 세계를 그리며 살았다. 똑같은 고통과 시대의 옳음에 대한 고민에서 나온 전혀 다른 두 결론이다. 그래서 이들 고전은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이 두가지 목소리로, 삶의 의미에 대한 우리의 판단을 끝없이 되묻고 있는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