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층산
토머스 머턴 지음, 정진석 옮김 / 바오로딸(성바오로딸) / 1976년 7월
평점 :
품절


트라피스트 수도원의 루이스 수사, 토마스 머턴의 자서전적 자기 삶에 대한 고백이다. 예술가의 집안에 태어나 여러나라를 옮겨 다니며 교육을 받았던 그는 부모를 모두 잃고, 미국에서의 대학생활 중 신의 살아계심과 그 부르심을 경험한다. 세례 후에도 지속된 그의 영혼에 대한 탐구는 결국 그를 수도사로서의 길로 향하게 했다.  이런 삶의 행적을 되돌아보며 그는 어릴적부터의 많은 신자들과의 만남과 영향이 그에게 이런 결정에 이르게 했음을 고백한다. 어찌보면 단순해 보이는 이 자서전은 뛰어난 글솜씨와 삶과 영적 세계에 대한 날카로운 표현들로 그 빛을 더한다.
 
이 책이 나에게 준 물음은 세가지이다. 첫째, 부르심이다. 각 사람은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과 준비시켜주신 소질을 가지고 있다. 마흔이란 나이는 혹 그 이후의 삶을 계획하지 않고 살도록하는 나태함의 나이일수도 있다. 하지만 사십에 왕자의 자리에서 쫓겨나 광야를 헤매이며, 팔십에 부르심을 받아 백이십에 이른 모세를 보면 이건 하나님의 시간과는 무관한 인간적 판단이라는 생각이 든다.
 
둘째, 업적을 이루는 것과 자기수도와의 갈등이다. 성공한 인생은 과연 많은 일을 이룬 실행에 집중한 삶일까? 아니면 자기 자신의 갈고 닦음에만 오로지 몰두하는 삶일까? 공자와 노자의 갈등이었고 칼빈과 프란체스코의 차이이기도 한 이 문제는 분명 그 해답이 둘 다임에 틀림없지만 수학적 중앙점처럼 단순하진 않다. 행동과 신앙으로 이분된 세계가 아님을 알기에 온전함은 분명 둘을 구분치 않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과 전혀 다른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살아가려는 나의 눈은아직  너무 어둡다.
 
셋째, 영적인 삶의 훈련과 환경의 문제이다. 하나님의 나라를 온전히 살려면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방법인 수도자적 삶을 백안시하는 것은 나의 문화적, 교육적 배경에서 오는 선입견은 아니었을까? 나는 주위를 온통 하나님과 담쌓고 살도록 흐트려 놓고 영적 생활이 빈곤하다고 한탄하며 살고 있는 건 아닐까? 위대한 삶이 내적 중심과 일치하는 삶, 한가지에만 뜻을 두는 삶이라고 하면서도...

벌써 25년이 지난 중학교시절의 [다니의 일기]에서 느꼈던 삶에 대한 공감을 삼십대 중반이었을 당시의 머턴에게서 다시 한번 느끼며, 남은 삶의 [사도됨discipleship]에 대한 심각한 성찰을 하게 됨을 감사케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