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는 민주적인 소통방식인가? - 질문 자체가 잘 못 되었을 수 있다. 블로그는 소통방식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라캉이 말한 것처럼, 그 가치를 인정하리라 예상하는 '환상 속의 상대자'에게 보내는 '부치지 않은 편지'에 가깝다. 이메일처럼 특정 상대자에게 보내는 형식도 아니고, 게시판처럼 불특정 상대자에게 공개하는 형식도 아니다. 블로그는 아무도 찾지 않는 가게처럼, 아무도 찾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그렇다. 아바타나 아이디가 사이버 공간상에서 개인에 상응한다면 블로그는 사이버 공간상에서 가게에 상응한다. 집은 아니다. 집은 그 대문을 열어놓고 누가 찾아오기를 기다리기 위한 장소가 아니다. 블로그는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통하지만, 사실 온갖 손님들의 구미를 당길 만한 자작 수공예 상품들로, 때로는 기성 히트 상품들로 진열장이 가득 찬 자그마한 쇼핑 공간이다. 그런 의미에서 블로그는 지극히 자본주의적이기도 하다. 꾸준히 다듬어 상품가치를 높여서 시장에서의 경쟁을 뚫고 많이 팔리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기 때문이다. 블로그의 자본주의 세계에서는 방문자수와 댓글수가 이윤에 해당한다. 이 두 가지의 이윤이 적정 선을 넘어서면 다시 새로운 자본으로 재투자되고, 여기에 블로그 주인장의 근면한 노동이 결합되면, 양의 피드백 회로가 작동되어 결국은 블로그의 거대기업화를 이끌어 낸다.
블로그의 거대기업화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그 하나는 주인장의 부지런함. 또 하나는 주인장의 글솜씨다. 부차적인 요인이 몇 가지 더 있는데, 그 중에 주인장의 사교성은 앞서 말한 두 가지 요인보다도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몇 가지 요인들에 의해 매일 방문자 수가 수백에 총 방문자 수가 백만에 육박하는 초거대 블로그와 매일 방문자는 거의 자기 자신뿐인 망한 블로그가 갈린다. 그런데, 그 분화는 몇 가지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카오스 이론의 사회과학적 연구대상이라 할 정도의 비선형성이 그 특징이다. 블로그의 이러한 비선형적 양태는 매우 훌륭하고 주옥같은 글이 담긴 블로그가 방문자 수에서는 그리 주목받지 못하고 그저 그런 블로그가 되는 이유가 된다. 다이아몬드로 가스층을 형성하였지만 임계 질량에 미치지 못하여 그냥 성운에서 진화가 멈춘, 되다 만 별의 꼴이 되는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동역학에 의하여, 눈물나게 훌륭한 글에 추천이 겨우 한 두개 밖에 달리지 않는 경우를 심심챦게 본다. 그러나 좋은 글이라면 추천과는 상관없이 '이주의 마이리뷰'로 선정될 수 있었기에, 나같은 게으름뱅이도 이렇게 훌륭한 글, 그리고 서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이주의 마이리뷰'도 추천수로 선정한다고 한다. 엷은 중력장을 갖고 있지만, 황홀하게 빛나는 다이아몬드 성운을 앞으로는 보기 힘들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