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탄 소년』 (The Kid With A Bike, 2011)
감독 : 장-피에르 다르덴 , 뤽 다르덴, 출연 : 세실 드 프랑스, 토마 도레, 제레미 레니에,
시릴과 아만다 이야기
열두 살 생일을 바로 앞둔 시릴은 읽어버린 자전거를 찾기 위해 아동보호소를 뛰쳐나온다. 아이의 아빠는 자전거를 팔고 소년을 버렸다. 우격다짐 몸싸움 끝에 아버지와 추억이 있는 자전거를 쟁취해 온다. 시릴은 자전거를 아버지의 사랑과 동일시한다. 아버지에게 버림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는 소년, 아들을 짐스러워하는 아버지, 둘의 재회가 쉽지 않다. 물리적인 만남 끝에서도 두 사람은 마음을 합하지 못한다. 서로 가야할 길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아버지와 헤어지게 되었다고 믿는 소년은 길을 가는 부자(父子)를 린치하고 돈을 갈취한다.
그 과정에서 소년은 아무 조건 없이 물질적 지원과 심리적 지지를 아끼지 않는 한 여성, 아만다를 만난다. 미용실을 운영하며 혼자 사는 아만다는 소년의 요청을 받아들여 위탁모가 되어 계산하지 않는 사랑을 선물한다. 그녀는 불안하고 위태로운 소년을 잡아주는 구심점이다. 소년이 엇나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내면의 갈등 없이 소년을 구원한다. 이 점이 『자전거 탄 소년』을 ‘아이의 성장과 어른의 사회적 책무성에 관한 영화’로 만든다. 그녀의 선택은 즉각적이고 준엄하다. 아만다의 사랑으로 관계 윤리와 책임이 소년에게 전이되면서 치유를 경험한다.
평범한 플롯을 특별하게 만드는 힘은 바로 감독 다르덴 형제에게 있다. 장-피에르 다르덴과 뤽 다르덴은 1990년대 세계 아트하우스 영화를 대표하는 벨기에 감독이다. 이 영화 이전에 칸 영화제에서 이미 네 편의 영화로 황금종려상 ('로제타' '더 차일드'), 각본상 ('로나의 침묵'), 여우주연상('로제타'), 남우주연상('아들')을 수상했다. 노동자의 현실을 날카롭게 고발한 다큐멘터리를 수십 편 만들었던 감독들에 대한 칸영화제의 사랑을 짐작할 수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작품과 다른 방식을 차용한 이 영화로 칸 심사 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러닝타임 87분, 핸드 헬드 카메라에 비전문배우를 앞세우고, 음향 이외에 음악은 사용하지 않던 엄격한 리얼리스트 형제는 이전 영화와는 달리 멜로 장르의 특징을 일부 차용하여 <자전거를 탄 소년>을 연출했다. 영화 초입부터 들려주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유명 배우인 세실 드 프랑스를 주연으로 발탁한 점이 그들의 기존 영화와 다른 점이다.
그러나 다르덴 형제에게 영화는 여전히 삶의 우위에 있지 않다. 그들은 우리 주변 어딘가에서 살고 있을 것 같은 캐릭터의 변화를 조심스럽게 보여주는 진정한 리얼리스트다. 피해왔던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그들의 영화에는 여전히 사회적 문제의식과 ‘희망’이라는 공통분모가 있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소외된 삶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제도적 모순이 개인의 의지와 만나는 한계상황에서 놓여있는 캐릭터들이 생생하게 살아 있다. 설명해야 할 부분을 생략함으로써 관객에게 복잡한 마음을 선물하는 독특한 화법 또한 변함없다.
드와넬, 무쉐뜨, 그리고 시릴
도덕과 윤리에 잡히지 않는 아이들을 떠올리게 하는 또 다른 작품이 있다. 그들의 무표정한 얼굴에서 누적된 슬픔의 깊이와 함량을 느낄 수 있는 리얼리즘 영화들이다. 트뤼포 감독의 『400번의 구타』(1959)에서 드와넬이 살아가는 삶이 그렇다. 그의 일상은 지독한 정신적 ․ 육체적인 구타로 이루어져 있다. 드와넬은 일상화된 폭력 앞에서 무표정하게 응대할 뿐이다. 카메라는 주관을 배제한 채 한 아이의 생활을 쫓는다. 브레송의 <무쉐뜨>(1967)에서 어린 소녀가 선택하는 저항은 자기학대에 가깝다. 소녀는 자신을 구원하는 방식으로 죽음을 선택한다. ‘자살’을 ‘악’으로 규정짓는 근본 기독교의 기계론적 접근에서 어긋나는 지점을 형성하며, 다시 자기표적을 겨냥하듯 기독교로 회귀하여 순교한다. 모두 보편화된 어린 아이의 모습과 상반된 채, 세상과 불화한다.
<자전거를 탄 소년>이 다행스러운 점은 드와넬과 무쉐뜨에게 없는 평화가 시릴에게 주어졌다는 점이다. 소년은 궁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호의로 가득 한 든든한 보호자가 있고, 주변인에게 속죄의 여지가 있다. 소외된 자들에게 카메라 시선을 견지하며 윤리를 성찰하는 감독들의 내공은 이 영화를 통해서 구원과 희망으로 조용히 다가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