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스본의 겨울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1
안토니오 무뇨쓰 몰리나 지음, 나송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리스본의 겨울’이라니, 다소 이국적인 인상을 풍기는 제목이다. 그 도시에서 발원했다는 대중음악인 파두(fado)를 생각하면 더더욱 이그조틱한 느낌이다. 파두의 전설 아말리아 로드리게스의 ‘맑은 슬픔’의 분위기를 간직한 노래들은 또 어떤가. 리스본은 저 먼 이국의 도시이면서 정서적으로는 오랫동안 친숙했던 어떤 아우라를 간직한 곳 같다. 민음사판 세계문학 전집에서 안토니오 무뇨스 몰리나라는 낯선 작가의 소설을 빼 든 것도 그 때문이다. 스페인의 현대소설은 별로 읽어보지 못하기도 했다. 모더니즘의 색채를 짙게 풍기는 이 소설은, 그러나, 그렇게 쉽게 읽히지는 않았다. 해설을 보니 스페인의 포스트모던 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소설이었단다.
재즈바 피아니스트인 비랄보는 그 카페 단골 손님인 루크레치아를 사랑한다. 그녀의 남편은 미술품 암거래상, 둘의 사랑은 은밀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었고, 짧은 시간 동안의 밀회거나 쪽지나 편지를 주고 받는 것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어느날 루크레치아는 남편 말콤과 함께 베를린으로 떠나버리고, 비랄보는 그녀를 찾아 방황하거나 체념한 채 상실의 시간을 견딘다. 이후 루크레치아는 살인 사건을 목격한 뒤 남편 곁에서 도망쳐 비랄보를 다시 만나지만, 리스본으로 떠나는 와중에 둘은 다시 결별하고 만다. 그녀는 남편과 그의 동업자들이 세잔느의 ‘생트 빅투아르산’을 훔치는 과정에 개입하게 되면서 도망자 신세가 된 것.
소설은 비밀의 사랑을 다루는 연애소설로 시작되다가 갑작스레 ‘느와르 영화’로 바뀌어 버린다. 더구나 범죄의 소재가 된 작품이 오르세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세잔느의 실제 작품이기도 하니, 현실과 비현실이 뒤섞이는 기묘한 독서경험이다. 한밤의 재즈바, 피아노와 트럼펫 연주, 도시의 뒷골목, 도망치는 연인들, 미술품을 둘러싼 암거래와 범죄, 살인. 느와르 영화의 요소는 고루고루 갖춘 것 같다. 소설 속의 사건과 마찬가지로 읽는 과정도 그리 속도감이 붙질 않고 인물들의 내면을 따라 느릿느릿 흘러간다. 잘 쓰여진 고급소설(?)인 것 맞는데, 쉬이 책장이 넘어가질 않는다.
비랄보와 루크레치아의 사랑은, 여느 연애소설과 달리 달콤하지도 않고, 실연의 고통도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본래 근원적 고독과 격절감을 가진 자들의 아주 가느다란 마음의 교류쯤이랄까. 리스본의 겨울은 이 소설에서처럼 어둡고 쓸쓸할까. 파두의 고향에 사는 연인들은 저마다 근원적 외로움을 간직한 채 그 결핍과 상처를 안고 살아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