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전집 2 (완전판)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황금가지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 2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김남주 옮김 / 황금가지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내가 아는 추리소설은 대부분 전개가 이렇다. 사건이 발생한다. 형사나 탐정이 도착한다. 증거를 찾는다. 증거를 토대로 범인을 찾는다. 범인을 응징한다. 그래서 대개 추리소설을 볼 때면 누가 범인인지, 혹은 추리가 타당한지 등에 초점을 맞춘다. 이런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나로선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굉장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다 읽고서 10분 동안 , 지린다……. , …….” 하고 감탄사만 내뱉었다.

 

병정 섬이라는 곳에 10명의 사람이 초대된다. 그들은 각자 기록되지 않은 범죄 이력을 가지고 있다. 심증은 확실하나 물증이 부족해 법의 처벌을 피해간 것이다. 살인자는 그들을 섬에 가둬두고 옛 동요에 맞춰 한 명씩 죽여나간다. 그렇게 모두가 죽었으나 살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곳에는 아무도 없었다.

 

추리소설은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즐기는 장르라 생각했는데, 이 책은 다르다. 옛 동요인 병정 노래에는 10명의 병정이 하나씩 사라지는 과정이 적혀 있다. 그리고 살해는 가사대로 진행된다. 누가 어느 대목으로 죽을지 예상하면서 보는 맛이 있는 것이다. 게다가 범인이 있음을 암시하지만 등장인물 모두가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처럼 보여 누가 범인이라고 확신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등장인물들은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고 경계한다. 인원이 줄어들수록, 의심이 깊어질수록 죄의식도 깊어져 정상적인 사고와 판단에서 벗어난다. 그들이 느끼는 두려움은 책 후반부에 나오는 윌리엄 블로어의 생각으로 함축될 것이다.

 

보이는 것은 두렵지 않았다. 두려운 것이 있다면 막연하고 불가사의한 위험뿐이었다. - p.237

 

살인극이 끝난 후 에필로그에서 부국장에게 사건을 보고하는 런던 경찰이 나오는데, 아마 그들의 심정이 내 심정이었으리라. 나는 혼자서 이런저런 상상을 하며 경찰의 의견에 내 생각을 보탰다. 그들 중 범인이 없는 게 아닐까, 있다면 오페라의 유령처럼 집 구조를 개조해 비밀 공간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아니면 베라 클레이슨이 마지막에 지각한 것처럼 제 3의 인물이 범인일까 등등. “그렇다면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요?” 라는 부하 경찰의 마지막 질문에 그러니까 도대체 누가 죽인 건데!”를 연신 외쳐댔다.

 

다행히도 작가의 배려로 궁금증 병에 사로잡히지 않아도 되었다. 대미 장식으로 환상적인 릭트쇼를 풀어준 덕분에 어떤 광고처럼 속이 편안해졌다. 그러면서도 여운이 남을 정도니 사람들이 자주 추천한 이유가 있었음을 깨달았다. 진작에 읽을 걸……하는 아쉬움도 함께 말이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다른 작품들도 이렇게 재밌을까. 입덕할는지는 모르겠으나 더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