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2
로렌 와이스버거 지음, 서남희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긴 추석 연휴가 지나가고 있다. 아쉽다. 이번 추석 연휴동안 읽은 책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였다.  동기는 단순했다.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악질 상사로 메릴 스트립이 나오는 예고편을 보고 나서였다. 소박하기 이를 때 없는(이런 선입견은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때문일 것이다.) 메릴 스트립이 어떻게 변신하고 나올까? 가 궁금해서 책을 사서 고향집으로 내려가는 기차 속에서 내내 읽었다.

책 속에는 대학을 갓 졸업한 패션 전문지 편집장의 신입 어시스트 '앤드리아'의 좌충우돌 '회사에서 살아남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백만명 정도의 여성들이 선망하는 직장이라는 '런웨이' 패션 잡지로 표현되는 거대한 직장 조직 체계..그리고, 그 조직 체계를 지배하고 있는 '미란다'라는 이름의 편집장.  '런웨이'잡지속 광고와 관련된 명품들(신발, 의상,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등)과 관련된 협찬업체들에도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미국뿐 아니라 세계의 유명인사들과 친분이 있는 이 여자에 대해서 보통 사람들이 느끼는 것은 아마도 '대단한 사람'이라는 숭배와 부러움의 시선일 것이다. 그러나, 그녀를 가까이 들여다 본다면....

한마디로 아랫사람에게는 '내가 서열이 위야..'라는 것을 나타내듯 안하무인에다 변덕스럽기 그지없고,  자기보다 위라고 생각되는 사람에게는 자신의 평판을 발판삼아 친분을 쌓고 필요한 것을 얻어낼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 내지만 개인적인 고민이나 이야기는 한마디도 하지 않는 인물이다.

그런 그녀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보는 어시스트의 시선으로 쓰여진 소설이니 만큼 이 소설에서는 '미란다'의 터무니 없는 요구와 변덕이 잘 묘사가 되어 있으며 독사같은 상사 밑에서 찍소리 못하고 일을 하면서 거대한 '런웨이'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습도 잘 묘사가 되어 있다.

여기서 궁금한 점 하나! 그럼 왜 그들은 악마와 같은 '미란다'가 호령하는 '런웨이' 속의 지옥같은 나날들을 참아내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책 속에서도 여러 번 강조가 되고 있지만 백만명 정도의 여성들이 선망하고 있는 직장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내가 해고 되더라도 내 자리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들은 얼마든지 있다는 식의 불안감과 그녀의 변덕스러운 명령에도  그 직장에서 1년만 버티면 1단계 업그레이드된 자리로 오를 수 있는 희망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두가지 조건은 어떤 누구에게도 쉽게 직장을 버릴 수 없게 만드는 족쇄일 것이다. 덕분에 '미란다'의 모습은 아무런 제재없이 일사천리로 통과가 되고 직장 속에서는 에밀리로 대변되는 일반적인 직장인의 대화 형태 '런웨이식 돌려 말하기- 상사인 미란다의 욕은 하되 욕을 한 끝에는 다시 미란다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을 거라는 식의 말이 항상 덧붙는 것-' 가 생겨나게 되었다. 

직장 속 위계질서는 이해를 하지만 서로 소통이 없이 일방적인 명령과 꾸짖음만 있고 자신의 불만이 윗선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빙~ 돌려 말하는 대화 형식의 답답함,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직장 속의 불안감은 현대 직장인이 느끼는 것이라 안타까웠다.

그랬기 때문에 이런 조직체계속  '미란다'에게 공식적인 자리에서 '나쁜년'이라고 외쳐버려 백만명 정도의 여성들이 선망하는 직장 '런웨이' 신입에서 선임 어시스트로 업그레이드가 1달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을 모두 박차고 나온 '앤드리아'의 반동적인 모습은 청량제와 같았다.

명품으로 휘감아야 회사의 격에 맞는 사람이 될 수 있었던 자리에서 벗어난 앤드리아는 같은 경험이 있는 잡지사의 편집장의 전화를 받고는 자신이 원하던 글을 쓸 수 있는 새로운 직장을 얻게 된다. 역시 끝은 시작이랑 통하는 말이며 길의 끝에는 또다른 길이 있을 뿐이다.

미란다와 앤드리아처럼 견고한 뉴욕 사회조직 속의 정점과 거기에 갓 발걸음을 떼기 시작한 초짜라는 극단에 있는 인물들과는 달리 중간에 끼어서 에밀리와 같이 적응하려고 무척 애를 쓰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요즘, '명품적 삶'이 뭔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추석 연휴동안에 TV문학관에서 해주었던 '등신불'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인간적인 고통을 그대로 품어안고 있으나 다른 이들에게 평안을 주는 부처의 모습을 가지게 된 인간체의 모습....어렸을 때는 몰랐기 때문이라지만 성인이 되고 난 후에는 알고 있으면서도 실천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명품적 삶'으로 가는 족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레어 2006-10-08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좌알 쉬었고 내일부터는 새보금자리에 일찍 가야한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