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볼 높은 학년 동화 34
이현 지음, 최민호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동구가 좋다. 동구는 야구를 좋아한다. 나는 야구를 모르지만 동구가 하는 야구 역시 좋다. 이제 막 6학년이 된 동구의 야구는 좋아서 하는 야구이지만 취미로 하는 야구는 아니다. 동구는 지금도 야구 선수고, 최동원처럼 훌륭한 선수가 되고 싶다. 어린이의 꿈이라고 해서 귀여운 것도, 창대한 것도 아니다. 대회 일정이 나오면 대진표를 복사해 방에 붙여 놓을 만큼 동구는 진지하다. 그게 멋있어서 나는 동구가 좋다.


동구에게는 야구가 인생의 전부다. 부산에서 나고 자란 동구는 꼴찌 롯데의 열혈 팬인 엄마 덕분에 태어나기 전부터 야구를 알았고, 아기일 때부터 야구공을 가지고 놀았으며, 돌 사진도 사직구장에서 찍었다. 이 소년의 마음 가득 야구를 채워 넣은 것은 엄마일지 모른다. 그렇지만 지금 동구는 스스로 야구를 선택했다. 엄마는 동생을 돌보느라 동구를 챙길 사정이 안 되고, 엄마와 헤어져 서울에 사는 아빠는 동구의 야구를 반대한다. 고만고만했던 동구네 팀은 새 감독님의 지도로 실력을 쌓으면서 이기는 감각을 배워가고 있다. 져서 못 나간 경기를 보기 위해 버스를 갈아타며 경기장을 찾아가고, '분루를 삼키다'라는 말을 배우고, '제발 좀 이기고 싶다'고 생각하던 동구에게 이길 기회가 생긴 것이다.


열심히 훈련하고 팀을 위해 모두가 힘을 합치면 이길 수 있을까? 이기면 모든 갈등은 봉합될까? 그렇지 않다는 것을 동구는 배워간다. 팀 내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신뢰받던 주장 동구는 우승을 위해서라면 선수들이 파격적인 라인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천부적인 감각을 가진 영민에게 자신이 자리를 내놓게 되니 그게 잘 되지 않는다. 늘 함께 했던 친구 푸른이는 이제 야구를 그만두고 공부를 하겠다고 한다. 평정을 잃은 동구는 실수를 하고, 경기장 밖에서 야구를 다시 생각해야 될 처지가 된다. 


이 동화는 '훈련 끝에 이기는 감동 스토리'가 아니다. 동구에게 야구는 즐기면서 하면 그만인 느슨한 게임이 아니라, 이번에 지면 다음 경기에 못 나가는 냉정한 세계다. 가족 걱정과 친구 생각, 앞날에 대한 불안 등으로 마음이 어지럽지만, 마운드에 선 동구는 침착하게, 결연하게 경기에 임한다. 이기지 못할 때가 더 많다. 그러나 당당히 지는 것을 배우면서 동구는 생각한다.


좋아한다고 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좋아하는 걸 멈출 필요는 없다. 마음껏 좋아할 수 있다. 그건 만루 홈런만큼 짜릿하고, 최동원 선수가 되는 것만큼 대단한 일이다. (본문에서)


이기거나 지거나 동구는 계속 야구를 할 것이다. 어쩌면 그만둘 수도 있다. 그러니 나는 동구를 '응원'한다고 쉽게 말하지 않겠다. 대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나는 동구가 좋다. 동구는 정말 멋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night 2016-06-13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동구가 좋네요.ㅜㅜ 좋아하는 동구를 더 알고 싶어서 책을 주문해야겠어요. 좋아한다고 잘 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걸 아이가 배우는 게 짠하고 뭉클해요ㅠㅠ

네꼬 2016-06-14 15:55   좋아요 0 | URL
팬클럽 결성! 네 인생의 쓴맛을 보기 시작... 그래도 잘 해나갈 것 같아요. 동구 멋있어요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