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가짓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미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는 1824-25년경 명천의 김씨에 의해 전해졌다 한다. 예로부터 감자는 쌀, 보리 등 다른 곡물을 재배하기 힘든 산간 지역에서도 잘 자라 이들 지역의 식량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주성분이 녹말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고구마에 비해 수분이 많고 녹말과 당분의 햠량은 적은 편이다. 따라서 육류나 콩과 같은 산성 식품과 배합하여 섭취하면 좋다. 또 감자를 저온저장하면 전분이 점차 당화하면서 환원당이 증가하고 감미가 많아지는데, 이는 감자 속에 있는 아미라아제와 말타아제가 천천히 전분을 당화하여 환원당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고구마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영조 39년(1763년)에 조엄이 구황식물로 이용하기 위해 일본에서 들여온 것이 처음이다. 고구마의 어원 또한 대마도 방언인 ‘고오고오이모’라고 한다.

고구마는 보통 점질 고구마와 분질 고구마로 구분하는데, 점질 고구마는 전분이 비교적 적고 당분이 많아 식용보다 전분 제조 또는 사료로 더 많이 이용된다. 이에 비해 분질 고구마는 전분이 많고 단맛이 있어 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칼륨 성분이 특히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며 섬유질뿐만 아니라 수지성분이 들어 있어 배설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고구마와 감자는 우리의 주식 대용으로 먹어온 것이다. 이런 먹거리를 가지고 함경도에서 감자막가리만두를 만들어 먹었으며, 감자송편과 고구마단자를 해 먹었다.

출처 : http://www.hellocook.com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우주 2004-03-23 2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흑. 먹을 거 얘기 넘 하지 마세요!!! 배고파요. 제가 떡을 얼마나 좋아하는데. 흑흑. ^^

책읽는나무 2004-03-24 07: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떡이란걸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는데...울아이가 떡을 잘먹으니..(제사때 떡을 먹기 시작해서 모든떡을 다 잘먹더군요...^^)....나도 같이 떡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빵보다야 떡이 훨 낫다는걸 이제사 깨닫게 되었네요....^^....그런데 무로도 떡을 만든다는건 첨 알았어요....^^
나중에 아이가 좀더 크면 떡을 직접 내손으로 만들어볼까?? 생각중입니다....울시어머님은 방앗간에서 떡반죽을 찧어 오셔서.....그냥 찜솥에 쪄내니 바로 떡!! 되더라구요....전 깜짝 놀랐어요....떡이 그렇게 손쉽게 된다는걸 보구서요....^^
그리고 떡종류가 많다는것도 예전엔 잘몰랐었고.....떡에 대한 기원이 깃든것도 잘 몰랐었는데...아이덕분에 많은것을 배운셈이죠!!....다음달엔 아이 두돌인데....수수팥떡을 해주려구요...아이 열살때까지는 수수팥떡을 해주면 좋다고 하더군요...그리고 생일때 떡을 해주면 그아이가 성장하여 잘산다는군요...요즘은 떡이 케잌으로 바뀌었지만요...ㅎㅎㅎ

ceylontea 2004-03-24 0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보라빛우주님... 저도 떡 엄청 좋아해요... 떡 너무 맛있죠... 정말 종류도 다양하고.. 우주님은 정말 배고플만한 시간에 오셨네요...
책읽는 나무님... 민이가 떡을 좋아한다니 잘 되었네요... 빵,과자보다는 떡에 입맛을 길들이면 좋은 식습관이 될 것 같아요... 저도 지현이한테 과자보다는 떡이나,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을 줄려고 생각중이랍니다. 그리고.. 수수팥떡.. 저도 엄마가 10살때까지 손수 만들어주신 기억이 나네요.. 전 수수팥떡 만들 줄도 모르는데, 배워서 지현이 생일에 만들어 주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