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응규가 춘수에게 자신이 유유라고 말한 것은, 1563년 봄, 서울로 가서 석 달을 머무르고 돌아온 뒤이다. 왜 채응규는 1563년 봄 서울에서 3개월을 머무른 뒤 자신이 유유라고 말했을까. 아마도 자신이 유유로 행세하는 데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말일 것이다. - P77

채응규가 사 람들에게 반응하는 방식은 똑같았다. 사람들은 채응규가 진짜 유유가 아니면 도저히 알 수 없을 것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고 그를 가짜라고 단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 P87

유연은 왜 대구 근처까지 와서 채응규를 결박해 대구부로 넘겼던 것인가. 서울에서 대구까지는 열흘 거리다. 유연은 그 10일 동안 채응규와 숙식을 같이하며 관찰과 대화를 통해 채응규가 가짜라는 결론을 얻었을 것이다. - P91

채응규가 첫날밤 이야기를 자신 있게 증거로 제출했던 것은, 그리고 백씨가 그 증거가 진실이라고 확인해주었던 것은 두 사람 사이에 공모가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P103

남편이 죽은 것이 아니므로 재혼도 불가능하다. 이혼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현재 적장자의 지위를 대리하고 있는 것은 유연이다. 유연은 앞으로 형망제급의 법과 관행에 의해 적장자의 지위는 물론 유유의 재산까지 차지할 것이다. 이것이 백씨가 처한 상황이었다. - P112

백씨는 유연이 유유의 재산을 빼앗기 위해 형을 가짜로 몰고 결박해 관에 고소하였고, 지키고 있던 자에게 뇌물을 주어 유유를 살해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응규를 찾아간 억종과 윤희가 대구 집으로 돌아가자고 요청하자, 채응규는 "아버지의 상에 달려가지 못했으니, 무슨 얼굴로 친구를 보겠는가?"라며 거절하고 따라나서지 않았다. - P68

유연은 백씨에게 유유의 편지를 보자고 하지만, 백씨는 잃어버렸다고 답한다. 집을 떠난 지 4년 만에 나타난 남편의 편지를 아내가 받고 잃어버렸다는 것은 쉽게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연전>은 1562년 유연에게 ‘해주에 있는 채응규란 사람이 ‘유유‘
라고 전했던 최초의 인물이 이제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제 역시 직접 채응규를 만났던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이 전하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58년 어느 날, 대구의 사족 유유가 갑자기 집을 나가 종적을 감춘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562년 채응규라는 자가 사라진 유유를 자칭하고 나타났다. - P5

<유연전>은 유연의 억울함을 알리려는 의도에서 쓰인 글이므로 모든 자료는 이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되고 배치되었다. 동일한 사건에 대한 기억은 기억하고자 하는 주체, 곧 기억 주체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 P14

유예원의 삶은 당시 지방 사족의 전형이었다. 지방수령으로서 인근의 친한 사족에게 자잘한 선물을 보내고, 모임을 가져 음주가무를 즐기며, 가까운 벗에게 아들을 보내 공부를 시키는 등의 일이 사족의 일상이었다. 유연도 마찬가지였다. - P27

‘유유 사건‘은 지방의 안정된 사족가문의 맏아들로서 과거를 준비하던 유유가 1558년 33세의 나이에 집을 뛰쳐나가 돌아오지 않으면서 시작되었다. - P29

유유는 일찍이 산에 들어가 독서하다가 홀연 돌아오지 않았다. 유예원과 백씨는 "미쳐서 달아났다"고 하였다. 말이 집 밖으로 나갔지만, 이미 아버지와 아내의 증언이 있었으므로 향리의 사람들은 믿고 의심하지 않았다.‘ - P31

유유는 몸이 왜소하고, 수염이 없고, 음성이 부인과 같다. 이것은 유유가 생물학적으로 여성성을 강하게 갖고 태어났음을 시사한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권의 힘을 상징하는 신도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호루스입니다. 이 신은 자연에서 절대 지배력을 갖는 태양에 대응하여 인간사회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는 파라오에 의해 구현되었습니다. - P68

수메르신화에서 엔키라는 신을 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그 이유는 엔키신화가 다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성경 이전의 신화적 내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 P85

엔키는 자신이 "신성한 안의 장자로 태어난, 바로 그가 나다"라고 외치며 엔릴과 신성한 왕권을 놓고 다투면서 신화 상으로 많은 이야기와 사건을 일으키게 됩니다. - P90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고대 수메르의 도시에 대해서 특별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도시마다 그 도시를 소유하고 있는 신들이 있고, 도시의 모든 시민은 지배자부터 노예까지 그 수호신들에 의해서 고용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