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티님 서재에서 글을 보고, 나도 여기저기 까페를 돌아다니며 탈퇴하고 정리하다가 이 강의록 발견.
문장이 참 거칠다- 그래도 내용을 기억할 수 있어서 좋다.
희미해졌던 기억이지만 한글자 한글자 읽을 수록 다음글자, 다음 문장이 생각나며 원래 알고 있었던 것 같은 진기한 경험. 

다시 공부하고 싶다. 주성치 닮은 우리 훈남 유선생님도 보고싶다. ㅠㅠ 

 

2007년 5월 9일 강의록

국어국문학과 임성희


지난주 프로토콜을 보며 대안학교가 공식적으로 인정이 되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들을 나누었다. 발표자는 개인적으로 대안학교를 지지한다며 발표를 마쳤다. 선생님께서는 대안학교가 생긴 이유는 공교육에 극단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대안으로 제시된 학교로써 공교육이 지향해야 할 모델은 아니라고 하셨다. 다음으로 우리는 사학에 대한 자료들을 보면서 해방 이후 사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사실을 확인했다. 선생님께서는 그 당시에 학교를 세울 수 있었던 사람들이 과연 누구였는지 의문을 제시하셨다. 또한 사립학교의 재정 개요를 살펴봤는데, 과연 사립학교인지 의문이 들 정도로 정부보조금이 너무 많았다.

특수목적고 중에서 민족사관학교가 있는데 이 학교의 교육목적은 학생을 민족의 지도자로 육성하는 것이다. 민사고에서는 민족주체성을 기르기 위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효(孝)와 전통예절 교육을 실시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한다. 실제로 한복을 입고 공교육을 시행하는 학교보다 훨씬 한국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이 전통과 한국적이라는 것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는데 민사고의 수업에서는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영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각이나 생활방식이 서구적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한 학우는 민사고와 한국전통은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선생님께서는 전통문화를 살리는 것은 좋지만 이제 와서 민족주의는 약간 문제가 있다고 하셨다. 이름만 해석하자면 민족사관고등학교는 민족주의를 주창하는 병력을 기르겠다는 뜻이 된다. ‘사관’이라는 용어가 군대에서 쓰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민족의 사표가 되시는 표상인물로서는 이순신 장군과 정약용 선생이 있다. 이순신 장군은 민족을 수호했고 정약용 선생 역시 실학을 통해 백성을 잘 살게 하고자 했다. 이들은 백성을 잘 살게 하는 것이 임금을 섬기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했다. 정약용 선생은 한국 실학의 대표자로 실사구시를 주창했는데 이 사상은 전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와 연관 지어서 민족 사관학교 역시 영어를 통해 세계 선진 기술 문명을 받아들이고자 한다. 전통교육이 주체가 아닌 세계 선진 기술 문명을 한국화 하는 것이 핵심목표다. 하지만 이는 ‘민족사관’과 잘 매치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경쟁력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효(孝)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21세기의 패러다임은 서구문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전통에서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예로 충(忠)을 살펴보자. 옛날에는 왕이 공동체의 중심이었다. 충은 공동체를 한 마음으로 모으는 것이다. 이를 현대의 회사 안에서 찾아보자. 회사 자체의 경영이 회사원에게 돌아가야 한다. 한 방법으로 주식이 있다. 그래야 구성원이 자기 회사라고 느끼며 더 열심히 일을 해야 한다. 이것이 충의 현대판 해석이다.  

그렇다면 효는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는가. 농경문화에서는 경험이 지식이었고 부모에게 불복종하는 것은 당장 농사에서 손해를 보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자식이 더 똑똑하다. 입신양명을 하는 것이 효일 수 있다는 의견과 적어도 부모님은 삶의 지혜를 갖고 계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자 선생님께서는 결혼의 예를 드시며 결혼이 집안과 집안의 만남인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자고 하셨다. 이는 경제적으로 자식이 부모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부모자식간의 긴밀한 관계는 점차 사회보장제도가 확립되면서 멀어질 것이다. 부모는 자식들에게 경제적으로 지원할 여유가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부모자식은 점차 각자 개인이 될 것이고 더 이상 긴밀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孝)란? 김미옥 학우는 부모자식의 관계는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인 관계로 서로 나누고 배려하는 것이라고 했다. 선생님께서는 전통 중에서 사라져서 아쉬운 것은 세계적으로 볼 때 사랑이라고 하셨다. 그 중에서도 사랑의 마지막 보루는 부모자식간의 관계다. 각박해지는 사회에도 불구하고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변하지 않는다. 효를 사랑의 개념으로 바꾸면 미래에서도 중요해질 수 있다. 오히려 부부관계는 합리적이고 이해 타산적이다. 부부는 얼마든지 헤어질 수 있다. 부모가 우리를 사랑하듯 우리도 부모를 사랑해드리는 것이 효다. 전통개념은 미래에서 충분히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개념이다.

다시 교육평준화 문제로 돌아와서 김미옥 학우는 평준화 자체에는 찬성하지만 문제가 많기 때문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고교 등급제 문제에 있어서 선생님께서는 국공립학교는 평준화를 하되 사립학교는 서열화를 하는 것이 한 방편이 될 수 있다고 하셨다. 국가 재정비 중에서 교육비는 4%이하이다. 이렇게 적은 돈으로 사립학교까지 지원하려니 힘이 들 수밖에 없다. 이제 FTA의 영향으로 학교가 시장화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립학교는 사립학교다워야 한다. 지금의 사립학교는 사립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사립학교의 재정화가 꼭 필요하다. 그래서 사학법은 꼭 필요하다.

지금 한국에는 민중이 기댈 수 있는 지도자가 없다. 지도자는 누구나 될 수 있지만 학교(특히 대학교)를 통해 그 가능성이 열린다. 세계의 명문대에는 있는 나름의 지도자관이 우리도 필요하다. 한국은 대학 교육과정이 기본(80%이상)이다. 효용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오히려 장점이 있다. 미래학자 폴 케네디는 한국의 교육수준이 경제발전 제 1의 원인이라고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심각한 문제는 한국의 엘리트에 대한 불신으로 엘리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회주의자들이 나라를 잡고 있다. 대선 때마다 당이 해체되고 다시 생긴다.

모든 사립학교가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사립고는 큰 문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사립학교가 좋냐, 좋지 않으냐는 이사장에 달려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는 구조적인 문제다. 학교의 민주화가 절실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orgettable. 2009-04-10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방후 급격히 늘어난 사학에 대한 각주:
해방 이후 교육에 대한 국민적 욕구는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당시의 빈약한 국가재정으로는 그 욕구를 충족시킬 만큼 새로 학교를 세우기가 어려웠다. 남은 방법은 민간자본을 학교에 대거 끌어들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순수하게 사회에 기여하겠다고 사재를 아낌없이 내놓을 사람이 그렇게 많지도 않았다. 이승만 정부가 궁여지책으로 생각한 것이 '사립학교 재단을 설립하여 자기 토지를 재단의 재산으로 등록하면 그 토지는 토지개혁의 대상에서 제외해준다'는 유인책이었다. 이 유인책은 대단한 효과를 발휘했다. 토지개혁으로 재산을 잃을까 걱정하던 대지주들이 너도 나도 '이게 길이다'싶어 사립학교를 세우기 시작했다. 그래서 대지주가 많았던 평야지대에 사립학교가 많이 세워졌다. -garino7님의 블로그(김진경님의 글)
 

핸드폰자랑해야지-  

약 2년을 함께해왔던 샤인이 자꾸 속을 썩여놔서 뭘로 바꿔볼까- 하다가 롤리팝 색깔이 너무 예뻐서 급 노예계약 체결!!
ㅅ오빠말로는 돈만내면 된다지만, 아마 2년안에는 꼼짝없이 이 귀염둥이에게 잡혀살듯-
책읽다가, 급 자랑해야지 싶어서 찍어두었다. ㅋㅎㅎ 

난 계절별로 꽂히는 색깔이 바뀌는 편인데,
요번에는 파란색인가보다. 옷구경을 하러가도 하늘색, 파랑색만 눈에 꽂히고 또 구두도 마찬가지.
저 귀여운 LED를 보라. ㅠㅠ 기린모양인데, 걸어가는 중이다.  
여름에 꽂히는 색깔 바뀐다고 지겨워지진,, 않겠지...................

2G폰이라서 DMB도, 영상통화도 되지 않지만..
(어차피 영상통화는 하지도 않는데다가 난 TV도 잘 안보니 상관없당ㅋㅋㅋ)
SKT 기변인데도 싼값에 했고, 번호도 바꾸지 않아도 되서ㅋㅋ 뭐든 귀찮다는 내 습성에 딱 좋다. 


 

으앙 귀여워어어어 ☆.☆ 
딱 서재이미지 색깔이군!

 

이게 좋은게, 내부가 진짜 정말 귀엽다는 거다. 디자인도 귀엽고, 글씨체도 이쁨.
뉴스를 보니 1723 을 노린 폰이라던데;;; 난 나이 개념이 23에서 멈췄으니 뭐-  찔릴 거 없어;

이상하게 기계에 대해서는 별로 흥미가 없었는데, 이 회사에서 일하면서부터 얼리어덥터가 된 듯 하다.
내가 나보고 얼리어덥터라고 하고 있다. -_-  

사야겠다고 생각한지 2틀만에 바로 질러버리는 이 결단력..
뭐 사는데 별로 우유부단하지 않은데; 아마 좋은 습관은 아닌듯 하다. 좋은건가?  

+ ㅍㅎㅎ 다음 블로거뉴스 보내기 보니까 얼리어답터 카테고리가 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뽀너스로 야옹이 사진- 

         

깨우니 자다 일어나서........................... 장난감 흔드니 눈이 반짝 +_+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해한모리군 2009-04-09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날씬쟁이 냥이군요..

Forgettable. 2009-04-10 13:42   좋아요 0 | URL
네, 완전 귀엽죠 0_0 ㅋㅋ
근데 얼굴은 진짜 날씬한데 몸은 약간 뚱뚱해서 전신사진 잘 안찍으려한다는 소문이..

Kitty 2009-04-10 0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예쁘다. 한국에는 저런 폰도 있군요!!
제 셀폰은 20세기형..............ㅠ_ㅠ

Forgettable. 2009-04-10 13:44   좋아요 0 | URL
색깔너무 예쁘죠- 안에도 막 그림이랑 글씨랑 너무 이뻐요!! 디자인주의인 저한테 딱 맞음 ㅋㅋ
근데 지금이 21세기인가요? 그렇다면 제 폰 기능도 20세기형입니다. 한국엔 빔까지 쏠 수 있는 핸드폰도 나왔어요;;;

Mephistopheles 2009-04-10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요즘 핸드폰...지나치게 잡기능이 너무 많아요..결국 그걸로 가격이 어마어마하게 올랐지만.
그냥 전화와 문자만 잘되면 되는 기본기능에 충실한 저렴한 핸드폰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Forgettable. 2009-04-10 13:47   좋아요 0 | URL
맞아요- 정말 핸드폰가격 왜이리 올랐는지.. 리치마케팅에서 가장 이득을 본 물품인것 같아요 보면.
전 기본기능에 기왕이면 좀 이쁜게 더 최고-!!

한번 유행하면 바이러스처럼 우르르 다 천편일률적인 디자인이라서
의외로 예쁜게 없었는데 마침 잘 나왔지 뭡니까 ㅎㅎ

ljh 2009-04-10 2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와우 야옹이보고싶어라.................
한국핸드폰은 여전히 발전하고있구만

Forgettable. 2009-04-13 16:02   좋아요 0 | URL
여전히.. 잘 살고 있다. 매우 건강 ㅋㅋㅋㅋㅋㅋ
나도 너 보고싶다~~
 

예전에는 아빠랑 정말 핏대세우면서 정치적 싸움 토론을 했었다.
한 서너번의 저녁을 보내며 정치를 넘어서선 인신공격까지 하다가 서로를 초토화시키며 얻은 결론은,
내가 변할 수 없는 것처럼 아빠도 변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아빠도 나보다 훨씬 많이 살았으니, 이걸 아셨겠지.
그래서 우린 그 이후로 절대 네버 서로에게 정치의 p자 얘기도 하지 않는다. 

어제는 퇴근길에, 연습장에서 골프치고 있다는 엄마를 억지로 불러내서 함께 투표를 하러 갔다.
명색이 고딩학생 엄마면서 투표안하는게 말이 되냐고 했더니,
투표율도 그렇게 낮은데 뭐하러 투표하는지 모르겠단다, 애들 학교까지 놀리면서- 인력낭비라고. 
그러면서 잠깐 후보 얘기를 했는데 교수 부인인 누구네 엄마가 4번찍으라고 했단다. 
2번은 전교조이고, 일제고사를 보면 선생님들이 더 열심히 가르칠 것이고 어쩌고.. 

 
아주 유명하지만 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어느 철학자는 인간이 대자존재- 자신을 결정적으로 근거지을 수 없는 상태라고 했단다. 시선을 좀 넓혀 보면 나의 욕망이 타자의 욕망이란 말도 있고, 뭐 자유따위는 없다 어쩌고.  

지금까지 난 민주주의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 뭐 이를테면 각 개개인의 자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어제 선거를 하며, 

(사실 어제 투표는 일생일대 첫 국가적 객관적 (???)투표였다.
 학생회장 선거도 해봤지만, 지금 생각하면 어디까지나 이건 아는 사람 도와주는 측면이 없지 않아 있었으니,,
 이제 정치라면 그냥 너무 회의적인 느낌이다. 라서 투표를 하지 않은건 아니고 절묘하게 나이가 되지 않았거나, 요상하게 매번 외국에 가있었거나 그래서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었다. ) 

과연 이 행동에 자유의지라는게 개입이 되긴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든다. 

누가 몇번 찍으래- 라던 엄마를 무시할 수 없었던 건 나역시 누가 몇번 찍으래- 의 영향을 받고 후보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동생을 비롯한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지인들이 씹는 MB를, 타도하는 입장에 서 있는 후보라는 영향이 더 컸던 것 같기도 하다. 

진정한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공부도 많이 해야 하고, 필요없는 건 괄호를 쳐서 일단 배제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의사들이 인체를 사물로 대할 수 있는 능력같은것.
그러나 어떻게 나처럼 나약한 인간이 사회적, 자연적 인과성을 배제하고 자유로울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몽크를 보는데, 스눕독이 나왔다.  Mr. Monk and the rapper 에피다.

간지란 바로 이런것이야!!  멋져 ㅠㅠ

약간 지겨워져서 [넘버스]로 갈아타는 중이었는데 도니에게 너무 버닝해서 약간 자제하는 마음으로 [몽크]로 돌아갔다;
[몽크]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버닝할 주인공이 없다는 것에;; 있다. 

- 난 한 번 빠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빠져버리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한데... 
요즘 [내조의 여왕]에 나오는 태봉이!! 크크섬에서 이대리일때부터 홀딱 빠져있었는데,
난 이 드라마 한 번 보고 안보기로 결심했다. 왜냠 너무 빠져버릴게 확실해서- 잉잉  



이대리ㅣㅣㅣㅣㅣㅣㅣㅣ ㅠㅠ
요즘 왜일케 연예인에게 버닝하고 있을까...


아, 스눕독 똘마니(무섭게 생긴 뚱뚱보)가 몽크 앞에서 막 욕을하며  motherf..... 까지하는데,
간지남 스눕독이 카리스마 있는 눈으로 스윽~ 째려보니
f..f... fella.. mother fella- *^^* 

이러는데 웃겨 죽는줄 알았다. ㅍㅎㅎㅋㅎㅎ 캬하핳홓허ㅣ
아 정말 최고의 에피소드 였는데...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괜히 공부한답시고 영어자막깔아놔서 흑인영어 거의 이해못하고 넘어갔다는거-
심지어 사건 설명은 랩으로 해결! OTL
그치만 멋지다. 아, 그들의 랩은 우월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넷 2009-04-23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몽크!... 약간은 어리버리하다고 해야되나, 인간적이라고 해야되나... 참 맘에 드는 캐릭터였습니다. 답답한 건 있었지만.ㅋㅋ;;

Forgettable. 2009-04-23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가넷님- (예전엔 너무 길어서 어찌 불러야할지 매번 고민했는데 쉽군요:) )몽크가..정말 그렇죠- 근데 실제 캐릭터는 좀 욕심쟁이 같아요, 인기를 독차지할려고하는 '-'
시즌 8을 마지막으로 한다고 합니다. ㅠㅠ 이제 슬슬 더더더 재밌어지는데!
 
황금 물고기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최수철 옮김 / 문학동네 / 199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르 클레지오의 소설을 읽으면서, 지루하고, 묘사 투성이에, 프랑스 특유의 멋부림이 들어있는 것 같아서 내스타일이 아니라고 단정지었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책이 르 클레지오의 책이 맞았는지 싶기도 하고 가물가물이다.  

'추억에 질식사하겠다' 

라는 구절이 있는 책이었는데 이 구절을 빼고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 제목도,작가도, 내용도- 뭔가 항해를 했었는데... 

지금은 좀 지겨워져서 안가지만 한때 자주가던 블로그주인이 헤세와 마르케스의 팬이어서 책 스타일좀 비슷한가 했는데 그분이 르 클레지오의 광팬이어서 궁금해서 [황금물고기]를 고르게 됐다. 내가 기억하던 그 '르 클레지오'가 아니길 바라며- 

책을 처음 펴들었을 때의 느낌은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중반부에는 황석영의 [바리데기] 정도였다. 문장도 아름답고 심장떨리는 구절들이 많아서 내가 생각했던 책이 르 클레지오의 책이 아니었나봐- 라고 생각했으나, 중반부부터 힘이 급속도로 떨어져간다. 난 다시 생각한다. 역시 르 클레지오의 책이었군. 

* 라일라는 도대체 얼마나 아름답길래 모든 남자들의 욕망이 되는걸까? 

그녀는 모든 남자들의 욕망의 대상이다. 강간 한번, 강간미수 몇번, 성추행 및 성희롱 일주일에 한번꼴 -_- [아름답다]라는 영화의 주인공의 모티브가 그녀였을까, 아니면 뿌리없는 흑인에게 인격을 부여하지 않던 그 당시의 문화였을까. 맹목적으로 그녀만 보면 달겨드는 남정네들을 보며 난 이렇게 마초같은 소설이 있나 싶었다. 

* 방랑 

언제 한 번 그녀가 주체적이었던 적이 있을까.
항상 누군가에게 끌려서, 혹은 누군가가 떠나야 하니까, 아니면 도망치듯 이리저리 떠돈다. 그렇게 떠밀리듯 살다가 결국 아주 나중에서야 고향이라고 하는데를 찾아서 엄마같은 할머니를 만나며 평화를 찾는다고 한다. 
뭐 주인공을 위한 주인공 캐릭터라고 해야 하나.

현대인들이 모두 이런 삶을 살고 있다고 해서, 이런 비참한 삶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풀어놨다고 해서,
이 작품이 훌륭하여 노벨상까지 받았다면
난 반댈세. 

난 보통 노벨상 받은 작가들에게 어느 정도의 신뢰를 느끼는데 이건 좀 아니다 싶다. 

비참한 삶은 있는 그대로 비참하게, 혹은 그 나름의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는 게 예술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비참한 삶을 있는대로 비꼬아서 더욱 더더더더 비참하게, 혹은 왜곡된 미로 비틀어버리는 것은 예술가의 실수라고 생각한다.  

이 사람은 작가의 권한으로 라일라의 인생을 망가뜨릴 수 있는데까지 망가뜨려놓고 또 그걸 아름답게 한껏 포장할려고 애를 쓴다.
진실된 눈을 가장한 허풍이고, 가식이다.
어느 누구든 라일라의 성정을 가진 이에게 실제로 라일라의 인생을 살아보라고 해 보아라. 그녀는 그 삶을 견디기엔 너무 나약했고, 난 성장기가 아니라 한 인생의 체념기를 읽는 듯 했다. 잔인하여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09-04-13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씨의 말에 따르면 황금은 단단하지 않다고 합니다.
따라서 제목하나는 기가막히게 잘 지은 것이죠-

이상 순도 백프로 황금으로 된 장신구를 접해보지 못한 빈민의 오류 정정이었습니다.

위에서 뭔가 항해를 하는 소설은 [우연]이다.
우연히 서점탐험하다가 발견, 엄청 궁금해했었는데 발견해서 다행이다ㅋㅋㅋ
그러고보면 이사람 밀항에 로망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