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걸어간다
윤대녕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아마도 대학에 복학하던 해인 1995년 봄인 것 같다. 윤대녕의 소설집을 처음 읽은 것은. 첫 소설집인 <은어낚시통신>이었다. 그 책의 초판은 이미 발간된 지 1년쯤 지나 있었고, 내가 산 책은 4쇄째였다. 군대 가기 전에 단편소설 한두 편은 읽었던 것 같은데, 아무튼 그때 윤대녕이란 작가를 본격적으로 접하게 됐다. 그때 “말발굽 소리를 듣는다” “January 9, 1993 미아리통신” “은어낚시통신” 같은 빼어난 단편들을 만났다.
윤대녕의 소설을 읽는 동안 산수유와 진달래가 피었고, 봄밤을 맞아 라일락이 난분분 향기를 뿌렸다. 늦은 봄밤처럼 눈과 귀를 시름시름 앓게 하는 소설이었다. 윤대녕의 소설을 읽지 않는 동안에는 취업 준비를 위한 스터디를 했다. 뜻과 맘이 맞는 친구, 후배들과 꾸린 모임이었다. 집으로 가는 길이면 절반은 윤대녕의 소설을, 절반은 TOEIC과 광고 Copy가 떠올랐다. 그리고 그해 가을, 두 번째 소설집인 <남쪽 계단을 보라>를 읽었다.
윤대녕의 소설을 생각하면, 봄이 생각난다. 그의 소설을 처음 읽었던 1995년 봄이 떠올라서기도 하지만, 그의 소설엔 유독 봄을 떠올리게 하는, 멀고 아련한 과거, 헤어진 연인 등의 이야기가 많기 때문이다. 깊은 밤 저 너머에서 건너오는 목소리 같은 소설들을 읽으면서 나는 윤대녕이 말하는 인연의 덧없음과 시원(始原)에 대한 그리움을 되새겼었다.
<누가 걸어간다>는 윤대녕의 네 번째 소설집으로, 5년 만에 나온 신작이다. 그는 이 소설집에 실린 소설을 쓰던 중인 2003년 제주도로 이사했다. 굳이 이 같은 사실을 적는 것은, 6편의 소설이 실린 소설집의 절반인 세 편이 제주도로 이사한 후 씌어진 작품인데, 나머지 세 편의 작품들과 완성도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거칠게 말하자면, 작가의 제주도행(行) 이후 씌어진 작품들은 작가의 초기 소설에서 보여주던 긴장과 깊이를 다시 보여주는 가작(佳作)들이다. 그 작품은 “찔레꽃 기념관” “낯선 이와 거리에서 서로 고함” “올빼미와의 대화”이다.
이번 소설집을 읽으면서 두드러진 것은 ‘나에 대한 낯섦’이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선뜩선뜩 느끼는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 하지만, 이전의 윤대녕의 소설과는 다르다. 이전의 ‘나는 누구인가’는 과거와의 절연성을 바탕으로 한 물음이었다. 이번 소설에서는 현재에 대한 고착성이 배경이 되고 있다. 즉, 본질적인 물음, 형이상학적 물음에서 실존적인 물음, 정치사회적인 물음으로 변화한 것이다.
“낯선 이와 거리에서 서로 고함”에서 주인공은 자동차 세일즈맨이다. 아등바등 살아가고는 있지만,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 지극히 평범한, 보통 사람이다. 그런 그가 어느 날 걷기 시작한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걷기 시작한 그에게 아내가 의문을 갖는 것은 자연스런 일.
“왜 그 먼 길을 걸어서 온 거죠?” “나도 어쩔 수 없었어. 걷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던 거야. 몸 안에, 입안까지 모래가 가득 차서 걷지 않고는 숨이 막혀 죽을 것 같았어. 그래서 모래를 가득 실은 트럭처럼 나는 무겁고 느리게 걸었어. 걷다 보니 신기하게도 조금씩 숨통이 트이고 몸이 가벼워지더군. 걷고 있는 동안 모래가 조금씩 똥구멍으로 빠져나갔나 봐.” - 238쪽.
우리는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고, 어떤 때는 하루에도 몇 번씩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한복판에 서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가끔씩은, 아주 가끔씩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없고, 자기 자신이 삶의 한복판이 아닌 변두리에 서 있다는 소외감과 덧없음을 느낄 때가 있다. 그럴 때 이 넓은 세상에 ‘나’처럼 낯선 것도 달리 없다. 윤대녕은 이 ‘나에 대한 낯섦’을 섬뜩할 만큼 잘 그려 보여준다. 특히 이번 소설집에서는 현실의 고단한 삶의 세부까지도 여실히 보여주며 더욱 실존적인 무게감을 전달하고 있다.
“올빼미와의 대화”를 보면, 작가의 분신인 듯한, 제주도에 살고 있고, 글을 쓰는 이가 주인공으로 나온다. 늦은 밤 어떤 사내로부터 계속 전화를 받게 되는데, 그는 나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심지어는 내 마음속에 깃든 생각까지도. 궁금증은 더욱 커져 가고, 그를 만나러 서울 인근 신도시로 찾아 가지만, 정작 그와의 만남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신 그의 목소리만 들려온다.
“진심을 가지고 대화할 사람이 없다고 너무 투덜거리지 마. 그렇다면 자신을 붙잡고 계속 얘기하면 되는 거야. 그러다 보면 어느 날 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과도 쉽게 말이 통하게 돼 있어. 그리고 또한 나무와 물고기와 동물 들과 대화하는 것도 멈추지 마. 그들은 언어 이전의 언어로 얘기하니까 모름지기 들어둘 게 많아. 모두가 잠든 밤에 귀를 열어두고 있으면 들리지.” - 299쪽.
작가에 따른다면, ‘낯선 나’를 ‘낯익은 나’로 만들려면, 나와의 대화를 자주 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듯하다. 또 나무와 물고기와 대화하는 것도. 그런다고 해도 가끔씩은 ‘낯선 나’를 만나게 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