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미실은 책을 보기전부터 요란한 타이틀에 눈이 갔다.. '제1회 세계문학상 당선작. 원고료 1억원.' 유명인의 50자 서평을 보면 신라 제일의 미색인 미실에 대한 재조명과 팜므 파탈의 전형으로 평가되어지는 여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팜므 파탈의 사전적 의미는 < 남성을 유혹해 죽음이나 고통 등 극한의 상황으로 치닫게 만드는 '숙명의 여인'을 뜻하는 사회심리학 용어> 이다.
이 책에서 묘사하고 있는 미실은 권력에 눈이 멀어 다른 사람을 곤경에 빠트리는 <장희빈>이나 <스크린>에 나오는 이미숙처럼 증오로 다른 사람을 구렁텅이에 빠트리는 요부도 아니다. 어찌보면 세상에 순응하며 사는 숙명적인 여인이 아니었을까? 첫 남자 사다함을 사랑했지만 조모와 집안의 안녕을 위해 어쩔수 없이 세종과 결혼을 하지만 평생 사다함을 잊지 못한다. 오죽하면 사다함의 동생 설원과 사랑하는 사이가 될까. 진흥제의 여자가 된것도 미실의 야망때문이 아닌 우연히 진흥제의 눈에 띄어 최고 권력자의 여인이 된것뿐. 여권 신장이니 팜므 파탈이니 하는 말은 미실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을 덮고 나니 괜히 읽었다는 후회감만 밀려온다. 언뜻 <몽고반점>을 읽었을때의 왠지 '찝찝함'과 일치한다. 난잡한 성생활이라니... 신라시대에 이토록 자유분방했단 말인가? 아들과 결혼한 며느리를 아버지가 가로 채고, 그러면서 아들과의 관계가 유지되고, 또 다른 두 아들과 차례로 관계를 맺고, 첫사랑의 동생과 관계를 맺고.... 그때도 엄연히 불륜의 개념이 존재했을텐데...
물론 세종의 미실에 대한 희생적인 사랑이나, 병을 얻어 온몸에 종기가 났을때 입으로 고름을 닦아내는 설원이 있기에 미실은 그나마 행복한 걸까? 그 문란한 생활과 권력의 소용돌이에서도 살고 싶은 만큼 산 미실의 삶이 아름다운 걸까? 재조명할 가치도, 재인식할 가치도 없는 듯 하다. 차라리 대장금을 재조명하는 편이 백번 낫지 않을까? 허...이러고도 목숨을 보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