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핑 뉴스
애니 프루 지음, 민승남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3월
구판절판


"이봐, 언제 한번 놀러 와. 연락 자주 하세." 파트리지가 말했다.
그들은 차마 손을 놓지 못하고 깊은 우물에서 물을 퍼 올리듯 공중에서 맞잡은 손으로 펌프질을 해댔다.-25쪽

옛날 상사병에 걸린 뱃사람은 낚싯줄로 느슨하게 '진정한 연인 매듭'을 만들어 사랑하는 여인에게 보냈다. 매듭이 느슨한 상태로 되돌아오면 그 관계는 제자리걸음, 단단하게 묶여서 돌아오면 사랑이 맺어지는 것, 매듭이 뒤집혀서 돌아오면 배를 타고 떠나라는 무언의 충고였다고 한다.-27쪽

"(...)그러고 보면 불행은 여럿이 함께 나누는 게 좋다는 옛말이 일리가 있어요. 주위 사람들이 함께 죽으면 죽기도 한결 쉬워지는 거 아니겠어요?"-317쪽

그들의 침묵은 늘 편안했다. 둘 사이엔 무언가가 있었다. 하지만 사랑은 아니었다. 상처 입고 뒤틀린 사랑은 아니었다. 평생 단 한 번 오는 사랑은 아니었다.-332쪽

쿼일은 눈을 가늘게 뜨고 하늘을 올려다보았다. 거센 바람 속에서 수십억 개의 눈발이 춤추듯 맴돌며 떨어져 내렸다.
"계모의 입김이야." 빌리가 말했다.-380쪽

쿼일은 페틀에게서 받은 유일한 선물을 생각하고 있었다. 페틀은 쿼일이 준 여남은 개의 선물 포장을 풀었다. 터키옥 팔찌, 열대어 어항, 카나리아 색깔 눈과 무대 의상에 다는 반짝이 입술의 엘비스 프레슬리 얼굴을 수놓은 조끼. 그녀는 마지막 포장을 풀고 나서 빈손으로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쿼일을 흘낏 보았다.
"잠깐만." 그녀는 부엌으로 달려갔다. 냉장고 문 닫는 소리가 들리더니 그녀가 손을 등 뒤로 감추고 나왔다.
"당신 선물을 살 시간이 없었어." 그러곤 꼭 쥔 두 손을 앞으로 내밀었다. 손을 펴자 양 손바닥에 갈색 달걀이 하나씩 있었다. 쿼일은 그것들을 집었다. 차가운 감촉. 그는 페틀의 행동을 다정하고 멋지다고 여겼다. 중요한 건 달걀이 아니라 그것이 그녀가 손으로 건넨 선물이라는 상징성이었다. 그에겐 그것으로 족했다. 그 달걀이 어제 슈퍼마켓에서 자기가 산 것이라는 사실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는 페틀이 자신의 속마음을 아는구나 생각했다. 나에게 진짜 중요한 건 선물을 주는 마음, 선물을 건네는 손길이라는 걸 알 만큼 그녀는 날 사랑하고 있어.-393쪽

"하루는 그녀가 내게 달걀 두 알을 줬어요. 날달걀을 선물로 준 거지요." 그떄 쿼일은 그 달걀로 오믈렛을 만들어 어미 새가 새끼를 먹이듯 페틀에게 떠먹였다. 그리고 달걀 껍데기는 종이컵에 넣어 부엌 캐비닛 위에 올려놓았다. 아직도 그 자리에 있으리라.-429쪽

4월의 바다에 마치 살포시 미소 짓듯, 혹은 레이스 식탁보를 탁 펼치는 순간을 슬로모션으로 보여주듯 흰 포말의 줄무늬가 보일 뿐 쿼일은 나타나지 않았다.-437쪽

자정이 되자 바람은 서쪽으로부터 곧장 불어오고 신음 소리가 통곡 소리로 높아졌다. 바람의 목록에도 들어있지 않은 지독한 바람. 무시무시한 강풍 블루노더와 블라스트와 랜드래시의 친척. 한가운데가 불그레한 작은 구름으로 시작되는 불스아이 스콜의 사촌. 북유럽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뉴잉글랜드 해상의 사흘간의 동북풍 빈드그니르의 시어머니. 알래스카의 윌리워와 아일랜드의 도이니온의 아저씨. 러시아의 눈으로 유고슬라비아의 평원을 강타하는 코샤바, 슈테펜빈트, 중앙아시아의 광활한 스텝 지역에서 불어오는 부란, 크리베츠, 시베리아의 비우가스와 푸르가스, 북러시아의 미아텔의 이복자매. 그냥 북풍이라고도 불리는 캐나다 프레리에 휘몰아치는 블리자드와 그린란드의 얼음평원을 달리는 피타라크의 친형제. 이렇듯 어마어마한 세력을 지닌 저 이름 없는 바람은 예리한 칼날처럼 바위를 깎아냈다.-4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형제 3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휴머니스트 / 2007년 6월
구판절판


(천명관 낭독 부분)
생각해 보시라. 십만 인파가 뜨겅누 여름날 한데 엉켜 땀을 흘리고 그 땀 냄새가 류진의 거리를 날아다니다가 발효되어 온통 매캐한 냄새를 풍기는 상황을 말이다. 십만 인파가 입에서 나는 악취까지 섞인 이산화탄소를 품어대고, 십만 인파면 이십만 개의 겨드랑이, 그 가운데 육천 개가 암내를 풍기는 겨드랑이였고, 십만 명이면 십만 개의 항문이 있으니 십만 개의 항문 가운데 최소한 칠천 개의 항문이 방귀를 뿜어대고, 항문 한 개가 방귀를 한 번만 뀌라는 법도 없잖은가. 방귀는 사람들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자동차와 경운기도 당연히 방귀를 뀌어댔다. 천천히 몰수록 자동차의 배기가스도 늘어났지만, 자동차는 회색 가스를 목욕탕의 수증기처럼 뿜어대니까 그래도 나은 편이었다. 하지만 경운기의 경우는 건물에서 화재가 난 것처럼 시커먼 연기를 토해내 그야말로 죽을 지경이었다.-130쪽

사람의 세상이란 이런 것이다. 한 사람은 죽음으로 향하면서도 저녁노을이 비추는 생활을 그리워하고, 다른 두 사람은 향락을 추구하지만 저녁노을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지 못하는 것이다.-2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형제 1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휴머니스트 / 2007년 6월
구판절판


"이제 울어라"
말을 마치자마자 이란의 울음소리가 먼저 울려 퍼졌다. 그것은 이광두와 송강이 처음으로 듣는, 그녀의 처절함이 극에 달한 날카로운 울음이었다. 그녀는 마음껏, 마치 그녀의 모든 소리를 한꺼번에 울어젖히는 듯했다. 곧이어 송강이 손을 풀자 입 안에서 맴돌던 울음소리가 '왕'하고 터져 나왔고, 이광두도 따라 마음껏 울기 시작했다. 그들의 방성대곡이그들의 걸음과 함께했고, 시골길을 걷고 있었기에 그들은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았다. 논밭은 광활했고, 하늘은 높고 아득했다. 그들은 함께 울었다. 그들은 한 가족이었다. 이란은 마치 하늘을 보는 듯 고개를 쳐든 채 목 놓아 통곡을 했고, 송범평의 부친은 허리를 굽힌 채 고개를 숙이고 마치 눈물 한 방울 한 방울을 땅에 심듯 울었다. 이광두와 송강은 눈물을 한 번 또 한 번 훔치며 송범평의 관 위로 눈물을 흩뿌렸다. 그들은 그렇게 마음껏 울었고, 그들의 폭발적인 울음에 근처 나무에 앉아 있던 참새들이 마치 물보라처럼 놀라 날아갔다.-2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6월
구판절판


심리학자 레비츠키의 연구에 따르면 타인을 능력 차원으로 평가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평가할 때도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자기 자신을 정의할 때 능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기 떄문에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도 동일한 차원에서평가하게 된다. 반면에 자신을 정의하는 데 있어 '따뜻함'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은 타인을 평가할 때도 동일한 차원에서 본다. .....(중략)... 결과적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말하는 평가나 내용들을 보면, 다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정보를 준다기보다 우리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더 많이 드러낸다. 그러니 자기 주변에 남을 헐뜯는 사람이 많다고 불평하는 사람이 있다면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주변 사람이 실제로 남을 헐뜯는 사람이어서 두려운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자신이 남의 허물을 습관적으로 들춰내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에 세상은 아직 살 만한 곳이고 자기 주변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가까이 해도 좋다. 그 사람은 누구와 있어도 상대방의 장점부터 보기 떄문이다.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는 옛말이 기가 막히게 들어맞는 셈이다.-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전도 나이트클럽
무라카미 류 지음, 이정환 옮김 / 샘터사 / 1999년 10월
절판


발견과 개발이 되풀이되는 현장에 있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의문인데 그런 현상들은 인류의 지혜에 의해서 개발되었다기보다는 미리 시나리오가 설정되어 있고 우리는 그 시나리오를 따라서 행동하고 있을 뿐이라는 느낌을 받게 돼.-204쪽

이탈리아는 모든 것이 미완성이야. 친자노(이탈리아산 포도주의 일종)의 달콤한 향기와 50년대 팝송의 굴곡이 없는 곡조, 뭔가 부족한 듯한 느낌이 들면서도 관능은 충분히 만족시켜 주지. 달도 마찬가지야. 보름달이 되기 하루나 이틀 전의 모습이야말로 최대의 아름다움이라고 말할 수 있어.-30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