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꽃 향기 2
김하인 지음 / 생각의나무 / 2000년 6월
품절


"...브라질인지 페루인지, 아무튼 그쪽 나라 한 지방에서는 아이가 출생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나무에 이름을 새겨 넣는대. 자기 나무가 한 그루씩 있고, 그 나무가 사랑을 이어준다고 믿기 때문이지. 그리고 사는 동안 기쁘거나 슬픈 일이 있으면 그 나무를 찾아가는 거야. 나무는 변함없이 한 자리에서 기다려 주니까. 난 그것을 유치한 짓이나 자연 훼손 같은 가치 척도로 재고 싶지 않아. 한 인간의 삶과 한 나무가 그처럼 합일된 경우도 또 없을 테니까..."-1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화꽃 향기 1
김하인 지음 / 생각의나무 / 2000년 6월
품절


승우의 입술은 뜨거웠고 서늘했다. 윗입술이 태양에서 가져 온 거라면 아랫입술은 달이 키워 낸 것 같았다.-83쪽

"...내가 필리핀에서 15년째 살고 있잖아. 그 나라에, 여자한테 눈물을 흘리게 한 남자는 꼭 열 배의 눈물을 흘리게 한다는 주문이 있어. 남자의 불행을 부르는 일종의 저주이지..."-1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순
양귀자 지음 / 살림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결혼 적령기를 훌쩍 넘긴 나는 아무래도 이 소설의 결말이 고깝다.
삶은 되풀이되는 실수로 가득한 것이라지만, 대를 잇는 실수는 이제 좀 그만.

하지만 그게 또 인생이라면 할 말은 없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순
양귀자 지음 / 살림 / 1998년 7월
구판절판


어떤 일에 확 트여 버리면, 아주 뛰어나 버리면, 바닷물이 시냇물 쳐들어오는 것을 보고 돌아누워 끙 낮잠을 자 버리듯이 그렇게 시시해져 버리는 것이었다. 술에 관한 한, 나는 그런 사람이었다. -167쪽

사랑은 그 혹은 그녀에게 보다 나은 '나'를 보여 주고 싶다는 욕망의 발현으로 시작된다. '있는 그대로의 나'보다 '이랬으면 좋았을 나'로 스스로를 향상시키는 노력과 함께 사랑은 시작된다.-199쪽

너무 특별한 사랑은 위험한 법이었다. 너무 특별한 사랑을 감당하고 싶어서 그만 다른 길로 달아나 버린 아버지처럼.-2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보다 깊은 잠 2
박범신 지음 / 세계사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이제는 사라진 www.hunbooks.com 에서 대량으로 사들인 책 중 하나.
70~80년대 인기남이었던 박범신의 책이라기에 주저없이 클릭해서 장바구니에 넣었는데 제목은 낯설다.
<꿈과 쇠못>이라...


알라딘에도 없기에, 이외수의 <산목>처럼 이제는 사라진 책인가 했는데
아, 또 제목이 바뀐 거였구나.
그런데 그 역사가 아주 스펙타클하다.
1979년에 박범신은 <죽음보다 깊은 잠>을 써서 20만 부 이상 판매고를 올린다. 
한국의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현실을 날카롭게 풍자한 게 때마침 딱 맞아떨어진 것.
이른바 세태소설이었다.
그리고 5년 후, 여성지 '주부생활사'에 두 번째 세태소설이라 할 수 있는 <꿈과 쇠못>을 연재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단행본으로 출간할 때 편집부의 권유로 <하늘로 던지는 그물>로 제목을 바꾸고..
또 그 후에 재출간할 때는 전작 <죽음보다 깊은 잠>의 유명세를 이용하기 위해선지
제목을 아예 <죽음보다 깊은 잠 2>로 바꾸고.....
모르는 상태였더라면 <죽음보다 깊은 잠>과 <죽음보다 깊은 잠 2>가 상하 세트인 줄 알고 함께 샀을지도 모르겠다.
뭐, 두 작품이 아예 아무 연관성도 없는 건 아니지만, 약간 '귀여운 사기' 수준 아닌가?
우리나라 출판사들, 제목을 너무 자주 바꿔 책을 찍어내는 것 같은데 제발 좀 안 그랬으면 좋겠다.
처음에 지은 제목이 좀 못마땅하더라도, 그래도 그것 또한 작품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수익을 위해서라면 어쩔 수 없겠다 싶은 경우도 없는 건 아니다.
성석제의 <순정>은, 상업적으로 보자면 <도망자 이치도>로 제목을 바꾼 후에 더 눈길이 가기도 하니까.
그래도 나는 <순정> 쪽이 더 좋다.

<꿈과 쇠못>은 딱 80년대 소설스럽다.
약간은 '나는 펫' 스럽기도 하고 '아이돌 성공기' 같기도 하고 '조강지처클럽'같기도 하고 그러면서도 퇴폐적인 미사리 느낌도 난다.
마지막 부분에서 영훈이 사라지는 모습에서는 난데없이 '환타지'스러워져서 엥 내가 이외수 소설을 읽었던 건가 싶기도 하다.
그런데도 솔직히 말하자면,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릴 정도로 몰입감은 높다.
이 소설이 촌스러운 건, 우리가 이미 그 시대를 훌쩍 지나쳐 왔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는 없기 때문.
그리고 사랑은, 촌스러울수록 절절한 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