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독서일기 범우 한국 문예 신서 79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199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장정일의 독서일기 중 1993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의 것.
왠지 꾸준히 애독자(?)가 있는 것 같아서 궁금했는데 헌책방에서 발견한 김에 들고 왔다.

그런데 정말로 독서일기다.
"대구 가는 기차 속에서 000을 읽다" 로 시작되는 것도 많다.
어떤 날의 일기는 그냥 심플하게 "제주도에 오다"로 시작하고 끝난다.
독서 외의 이야기는 단순히 그것 뿐이다, 어디 가고 어디에 왔는데 무엇을 읽었다....
이 사람은 잠자고 밥먹고 똥누고 나서는 책 읽는 것 밖에 할 일이 없나 싶게 독서양이 방대하다.
단순히 "많이" 읽는 게 아니라 "깊이" 읽고 있어서 부럽다.
아는 게 많으니 쓰고 싶어 죽겠는 모습이 눈에 보여서 얄밉다.
궁금도 하다. 그는 속독을 할까, 정독을 할까. 
나는 그의 책을 화장실에 두고 하루에 하루치의 일기를 읽었다.
하룻동안 이 책만 읽으라면 지루할 텐데, 그의 일기 쓰는 템포에 맞춰 하루씩 읽다 보면 지루하지 않게 읽힌다. 

 

그런데 다 읽고 나면 돈 쓸 일이 많아진다.


1. 밀란 쿤데라의 <이별의 왈츠>, 
    쿤데라의 소설에는 엎치락뒤치락 희극적인 면모가 있다는데 그 희극적 면모가 궁금하다.
    그의 <농담>을 사놓고 다른 이에게 선물하는 바람에 한 번도 그의 책을 읽은 적이 없기도 하고. 

2.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만툴리사 거리>,
    세라헤자다가 다시 '천일야화'를 펼치는 듯하다는데, 과연 정말?

3. 루이스 S.코저의 <살롱 카페 아카데미>,
    커피하우스와 지식사회의 발생 사이의 연관관계가 궁금하다.
    배명훈 연작소설 <타워>에서도 커피하우스(커피숍?)가 꽤 큰 지식의 축이었는데, 
    나는 그냥 다 필요없고 최고로 맛있는 커피를 파는 홍대 뒷골목의 'by 은'에서 
    헌책 무더기 쌓아놓고 읽으며 어줍짢은 지식소녀(?) 흉내라도 내고 싶다.

4. 다자이 오사무의 <귀향>,   
    얼마 전 읽은 <빙점>에서는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을 들먹거리더니 이번엔 <귀향>.
    이건 필시 다자이 오사무를 어서 읽으라는 신의 계시로 느껴지네.
    비일본인의 눈으로 보면 섬뜩하다는, 그의 단편 <참새>를 읽고 싶기도 하고. 


5. 스티븐 킹의 <스탠 바이 미>,
    얼마나 대단한 소설이길래, 죽어라 노력해도 심실풀이로 쓴 이 소설을 따라잡지 못하는 작가들더러
    넥타이 공장이나 차려야 한다고 일침을 놓았을까. 
    안 대단하기만 해 봐라. 특히 중편 <타락>과 <무서운 동심>, 두고 보겠다.
 
6. F. 사강의 <어떤 미소>,
    사춘기 소녀 도미니크가 어떻게 '나를 잃어'가며 '둘이서 하나'가 되는 사랑을 하는지 궁금하다.
    그런데 그의 연인 뤽크가 유부남이라고? 돌로 쳐 죽일 놈.

7. 김신용의 <고백>,
    <퐁네프의 다리>처럼 부랑자를 다룬 소설이라는데, 
    장정일은 이를 장 주네의 <도둑일기>, 윌리엄 케네디의 <억새인간>에 버금간다고 비교해 놓았다. 
    어머나, 다들 안 읽은 것뿐이라 비교 그래프가 머리에서 안 그려진다. 분하다. 
    그러므로 8번째와 9번째는....

8. 장 주네의 <도둑일기>

9. 윌리엄 케네디의 <억새인간>

10. 카프카의 <단식광대>,
      단순히 '굶는 것'을 즐기던 광대가 점점 '내 입에 맞는 음식이 없기 때문에' 굶는다며 허세를 부리기 시작할 때
      그 모습이 독재자와 얼마나 닮았는지 확인해 보고 싶다.

11. 이범선의 <표구된 휴지>,
      장정일은 이것을 '국보급 소설'로 꼽았다. 
     '소박한 황토색 서정의 작가'라며 이범선을 묘사했다.
      왜 이렇게 사람들은 '서정'에 빛깔을 붙이기를 좋아할까.
     '비단결 같은 서정의 눈물방울'로 묘사되는 한수산은 참 좋은데, 황토색 서정도 나는 좋아할까?
      어쨌건 이범선의 이 소설집 중 <국보>에 나오는 진로 소주병에 주목. 
      소주 온더락이라도 만들어 두고 홀짝이면서 읽어야겠다.

12. 카를로스 푸엔테스의 <아우라>,
      장정일은 이 소설에 '섬광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부여한다.
      섬광문학... 탐미문학만큼 매혹적인 이름이다.

13. 이진우의 <적들의 사회>,
     문단의 희생자와 결혼의 희생자, 이 중 누가 더 억울한지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올렛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읽다가 자꾸만 데자뷰를 느껴서 혼란스러웠는데 작가 후기를 보고서야 의문이 풀렸다.

          오산이.
          이 여자에게 이름을 지어준 지가 꼭 일 년이 되었다.
          오산이는 내 단편 <배드민턴 치는 여자>의 분신이다.


그 단편 읽을 때도 '알 수 없는 우울한 여자네' 라고 생각했는데
신경숙은 그 우울한 여자에게 깊이 감정이입하고 있었나 보다.    

단편의 주인공을 장편으로까지 끌고 온 걸 보면. 아니, 확장시킨 걸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생충
무라카미 류 지음, 양억관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9월
평점 :
절판


 

보면 불편해지는 책이 간혹 있다.
무라카미 류의 책은 대부분 그런 경우.

망한 책대여점에서 싸게 팔고 있지 않았더라면 가져오지 않았을 텐데
어쩌자고 나는 <한없이 투명한 블루>를 불편하게 숨어서 읽고 나서 또 그의 책을 집어들었을까.
손에 똥냄새 같은 게 묻으면 남들 앞에서는 진저리를 치다가도 나 혼자 있을 때는 몰래 킁킁 맡아보는 것과 같은 이치일까.
으엑 싫어 외치면서도 결국은 다 읽어내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래톱 이야기 범우문고 37
김정한 지음 / 범우사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출할 때는 언제 책 읽을 겨를이 생길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핸드백에 반드시 한 권을 넣는다.
그런데, 빅백이라면 몰라도 보통 핸드백은 책 한 권에 몸체가 뚱뚱해져 버린다.
버클을 가까스로 채운다.
영 폼이 안 난다.


하지만 이건 범우사 문고본이다.
다이어리보다 작고 얇다.
나는 헌책방에서 천원을 주고 샀는데 찍혀 있는 정가표시는 2000원.
책값이 오른 지금도 2800이면 한 권을 살 수 있다.
(표지는 내가 갖고 있는 98년도 3판 2쇄본이 훨씬 고풍스럽다.)
지큐의 정우성 에디터는 생수 사 마시듯 범우사 문고판을 산다고 한다.
영국에 펭귄북스가 있다면 한국엔 범우사 문고판이 있다며 추켜세운다.
이건 정우성 에디터의 "시월이 온다 하니, 추석 전날의 고향집처럼 생각나는 브랜드" 5가지 중 하나다.
나머지 네 개는, 컨버스와 무인양품, 빅, 광장시장이다.

정우성 에디터는 처음 지큐에 입사할 때부터 마음에 들었다.
내가 편집장도 아닌데 "아이구 귀여워" 엉덩이 두드려주고 싶은 심정.
아, 편집장이어도 엉덩이 두드려주면 성추행으로 몰리겠지?
어쨌든 그도, 범우사 문고판도 지금의 그 자리를 지켰으면 좋겠다.

이 작은 한 권에는 <모래톱 이야기>, <제3병동>, <인간 단지> 이렇게 세 단편이 들어 있는데
소재며 문체가 고색창연, 옛스럽고 인간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빙점 청목정선세계문학 39
미우라 아야꼬 지음, 이정예 옮김 / 청목(청목사) / 1990년 3월
평점 :
절판


 

아, 이런 게 "100퍼센트의 소설"이지.
하루키가 말한 100퍼센트의 여자아이처럼.

'드라마틱'이라는 단어를 설명할 때 이 소설을 예로 들면 그야말로 딱이겠다.
전개가 어떻게 될지 궁금해 자꾸만 뒷페이지를 흘끔흘끔 넘겨다 본다.
소심한 성격 탓에 뒷페이지 내용 다 읽지도 못하고 다시 앞페이지로 돌아왔다가 다시 뒷페이지를 흘끔흘끔.
손을 묶어놓고 읽을 수도 없고.

정말 소설 같은 소설을 읽고 싶을 땐 <빙점>만한 해결책은 없다.
(100년의 고독 제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