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의 팟캐스트에서 우연히 알게 되어 읽은 책, 이 책을 알게 되고 수전케인 유튜브 스피치를 봤는데 정말 눈물이 나올 뻔 했다;;

 

세상의 삼분의 일이 내향적인 사람들이라는데.. 외향적인 사람들이 유능하다고 평가 받는 세상에서 그들이 (나를 포함) 살아가기란 얼마나 힘든가 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본다. 외향적인 사람들이 친사회적이고 내향적인 사람들이 반사회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회적인 거라는 말에 정말 고개를 끄덕..

내향적인 자식을 키우고 있는 부모들이 읽으면 참 좋을 책이다.

 

 

 

 

 

얼마만의 연수님 에세이집을 읽었는가 말이다. 언젠가부터 연수님 소설이고 뭐고 한국소설을 잘 읽지 않게 되었다. 이 책은 좀 얇아 실망이지만 그래도 몇 편 실린 문장들은 역시.. 내가 좋아하는 김연수의 글들. <청춘의 문장들>이 나에게 청춘(?)을 생각나게 하듯. 십년후 다시 ++가 나오면 나는 이 때를 회상하게 되겠지. 잘 살아야겠다.

 

 

 

 

 

 

 

 

 

이 책이 나올 시점엔 이 책을 모르고 지나치다 우연히 요즘 발견되어 읽었는데 좋았다. 도쿄를 여행한다면 이 책에 나온 곳들을 다녀보고 싶다.

 

어떤 책을 만나느냐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은 달라지고, 어떤 사람과 만나느냐에 따라 책과의 만남도 달라집니다. '어떤 책과 만났느냐'가 당신의 사람됨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p.139

 

 

 

 

 

 

 

1,2,3권 중에 가장 좋았다. 특히 늙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랄까. 늙음이 두렵다면 아직 어린거고 관심받고 싶은 거라는 말. 우리는 나이먹는 것 따위와 상관없이 살 수 있어야 한다는 말. 어차피 모든 것이 상대적인 것이다. 나이먹는 나를 받아들인다거나 할 문제가 아니라 그냥 나는 나인 거다.

여러모로 도움이 되었다.

 

 

 

 

 

 

 

 

우와, 정말 재밌다. 역시 소문대로.. 역사를 이렇게 재밌는 이야기로 다룰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디킨스의 소설들은 정말 다 재밌다. 다른 책들도 많이 많이 좋은 번역으로 소개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