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사막 펭귄클래식 124
프랑수아 모리아크 지음, 최율리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삼각구도는 마리아 크로스라는 여인과 이 한 여자를 좋아하는 아버지와 아들이다. 아버지는 의학박사, 성인군자라 지칭되는 평범한 가정의 남자이지만 가정생활의 권태를 이기지 못하고 다른 여자를 엿보게 된다. 자신에게는 조금도 관심없는 한참 어린 여자를 사랑하는 중년 남자의 질풍노도(?)의 마음이.. 마른 세수를 습관적으로 하는 모습으로 다소 귀엽게 표현된다. 그의 아들 레몽은 마리아라는 여자에 의해 드디어 내면의 남성성이 드러난다. 김춘수의 시처럼 그대 이름을 불러주었을 뿐인데를 전차에서 눈길 한번 주었을 뿐인데로 바꾸면 된다. 쉽게 정복되지 않는 마리아는 레몽이 삼십대 중반의 중년이 될 때까지 복수의 대상으로서 첫 사랑의 기억으로서 레몽의 사랑의 역사를 좌지우지하게 된다.

 사랑은 이 세 사람의 내부에 격동의 폭풍을, 정염의 화신을 불러온다. 이런 과정들이 재밌게 표현되어 있다. 줄거리로만 따지면 그리 새로울 것 없는 통속소설인데 역시나 이것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다른 이야기가 될 수 있구나,를 느끼게 한다.

 소설의 말미에 일흔살이 된 박사는 한 남자에게 아내와 아이들이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지 말한다. 그것은 일종의 보호막인데 남자들을 수많은 유혹으로 부터 지켜준다고 하면서 말이다. 결혼에 관심없는 레몽에게 혼자 살아서는 안된다는 조언까지 한다. 이 소설은 지극히 남자의 입장에서 쓰여진 게 맞는 것 같다. 마리아라는 신비스러운 존재를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고 아내나 어머니의 의미를 남자의 입장에서 그리고 있다. 그래서 이 소설을 남자가 읽는다면 어떤 느낌일까, 사실은 궁금했다. 책소개에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일평생 인간 본연의 내적 갈등과 고통의 문제를 연구했다고 한다. 이 작가의 다른 작품들에게도 관심이 생겼다. 

 

 

"마리아는 정말 누구와도 같지 않은, 희한한 여자예요. 그래서 내가 집을 떠나 있을 때면, 어처구니없는 결단을 내리지 않을까 걱정이 된답니다. 종일 꿈만 꾸고, 묘지 아니면 외출도 안 하고.... 혹시 그게 다 독서의 영향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네, 책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p.131

 

사랑하는 사람들을 우리에게서 빼앗아 가는 것은 죽음이 아니다. 오히려 죽음은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존시킨다. 그들의 가장 젊고 아름다운 모습 그대로. 그래서 죽음은 사랑을 썩지 않게 보존하는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진짜로 사랑을 분해시키고 사라지게 만드는 것은 삶이다.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