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탄생 -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전인권 지음 / 푸른숲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이 부제이다. 사실은 한국 남자 뿐만 아니라 여자 까지 포함되는 한국인의 정체성 형성과정 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듯 싶다. 저자는 자신의 유년기를 사례(?)로 들면서 한국 남자가 어떻게 탄생되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중년이 되었는데 뭔가 문제는 생기고 그것에 대한 해결책은 쉽게 찾아지지 않게 되어 이런 분석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결국 원인은 자신이 그런 분위기 속에서 자랐고 현재의 자신이 그렇게 형성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어쩌면 저자의 경험은 한국의 일반적인 평범한 가족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가정교육일지도 모르겠다. 나역시 책을 읽으며 나의 어머니 아버지가 나와 내 동생을 그런식으로 교육하였음을 동감했으니까 말이다. 나 역시 우리 가정환경(?)과 부모님의 교육방침(?)을 분석해보아야 할 필요를 느꼈고 이 책이 주는 큰 수확은 아마도 자신들의 가정환경과 문제점등이 무엇인지 한번쯤 생각해보게 만드는 것일 것이다.

1.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각기 성격과 특성이 너무 다른 삼형제를 어머니가 사랑하는 방식은 달랐다고 저자는 말했다고 한다. 그런 사랑으로 인해 형제들은 각각 동굴속의 황제가 되어가는 우를 초래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나의 어머니에 대해 잠시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 어머니는 우리 두 남매에게 그런식의 애정은 보이지 않았던 것 같다. 동생보다도 네가 큰애니까 최고다 식의 대접을 받아본 적도 없고 그렇다고 반대로 동생에게 그런 애정을 쏟은 것 같지도 않다. 결국 동생과 나는 둘다 다행히(?)동굴속의 황제는 되지 않은 것 같다. 어머니에게 내가 동생보다 더 큰 존재라는 우월감보다는 동생은 동생대로 동생이니까 더 큰 사랑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동생 역시 그렇게 생각했을까. 혹시 큰 애인 나를 더 부모님이 위했다고 생각한다면 낭패인데.. 언제 한번 물어봐야할까 사실 물어보니까 뭐한 질문이긴 하다. 우리가 훨씬 나이가 든 뒤에라면 모르겠지만. 어쨌든 우리 한국 어머니들의 자식에 대한 사랑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이미 정평이 나있으니까.
중간 중간에 인상적인 부분을 몇군데 집어 보겠다. 어머니는 항상 내가 이렇게 말하곤 했던거 같다. 너는 몸이 약하니까 더 건강해 신경써야 한다. 너는 몸이 약하니까... 이 말을 정말 많이 들었다. 그렇다고 나만 보약을 지어준다거나 동생 몰래 더 좋은 걸 먹인 적은 없지만, 어머니의 이 말에 점점 나는 스스로를 몸이 약한 아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사실 약한 건 맞는 말이긴 하지만 어른이 된 지금에 생각해보니 두가지 점으로 접근해 볼 수 있을 듯하다. 나는 몸이 약하니 스스로 건강을 챙기자, 다른 하나는 오히려 그 말이 주는 역효과로 나는 몸이 약하니까 자신감도 없다. 사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요즘은 더 크다. 안타깝게도. 이렇게 따지면 모든 가정에 몸약하지 않은 자식 하나가 없을 것 같다. 나는 내 자식에게 그래서 결코 너는 몸이 약하니까 따위의 말은 하지 않으련다.
또 하나는 지하철에서 남자아이가 쉬가 마렵다고 하자 당황한 어머니가 가방에서 무슨 통을 꺼내서 쉬를 누게 하고 매우 만족스런 광경을 목격했다는 부분이다. 만약 그 아이가 여자아이 라면 그 어머니가 당당하게 오줌을 누이게 했을까. 뭔가 다른 방법을 찾았어야 하지 않을까.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남자아이들은 바지도 안입고 발가벗겨서 돌아다니게 놔두는데 여자아이들은 그렇게 키우지 않는 현실들도 그렇다. 얼마전에 친구의 육아일기에서 사내아이가 자신의 성기를 가리키면서 고추라고 말했다는 것을 써놓은 것을 보았다. 물론 그 친구는 별 생각없이 썼을 테지만, 나는 그 글을 읽는 순간 생각했다. 여자아기가 자신의 성기를 가리키면서 말을 했을때 그걸 글로 똑같이 쓸수 있었을까 하는.. 참 많은 생각을 했었다 그 당시에는. 무엇이 옳고 그르다는 것이 절대 아니다. 우리 사회에 자리잡고 있는 뿌리깊은 남녀 교육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무엇이 맞는 것인지 모르겠고 답답하는 것이다.


2. 동굴속의 황제로 만들어져간다.

가정에서의 많은 가르침이 사람들을 동굴속의 황제로 만들어가게 한다. 우리 자식이 세상에서 제일 잘나고 똑똑하고 멋지다. 어디서 주눅 드는 꼴은 못본다. 아이는 결국 남을 배려할 줄 모르는 사람으로 자라게 된다. 흔히 쓰는 말중에 너 뭐뭐 해봤어? 라는 말을 자주 한다. 너 미국가봤어? 너 이 책 읽어봤어?
마치 그런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만 대화가 되는 교양인으로 간주하는 그런 말투는 동굴속 황제들의 전형적인 말투이다. 나 역시 이런 말을 자주 했었는데 앞으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말해야겠다.

3. 우리에게 미래는, 현실을 질식시키는 미래이다.

우리 사회의 교육은 아니 정확하게 말해 학교는 상급학교를 진학하기 위한 일련의 준비하는 과정이다. 정말 우리에게는 중학교때부터 상급학교를 잘 진학하는 것만이 최고의 목표였다. 좋은 고등학교에 가기 위해서 또, 대학교 입학은 말할 것도 없다. 대학 입시가 자신의 인생을 모두 좌우할 것 같았던 숨막혔던 고등학교시절..우리에게 현실은 언제나 찬란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질식할 것 같은 준비기간이었다. 현실속의 교육이 아이들에게 무엇을 주어야 할지 몰랐기 때문에 뭔가 다음 단계에서는 그런 것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심리가 반영된 우리나라의 문제점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왜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언제나 무언가 준비해야만 할까. 준비된 인간을 강요하는 한국이라는 사회가 나는 오늘 너무도 싫어진다.


이 책은 정말 현실적인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가정생활, 나의 가족, 관계라는 허울로 짊어져야 할 숙제들, 그리고 나의 현실에 대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