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의 기술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알랭 드 보통의 책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그의 글에는 예민한 사람의 철학적 사유가 녹아들어가 있다. 이 책 역시 여행에 대해 말하면서 다양한 철학적 사유, 예술의 혼이 들어가 있다.
읽으면서 얼마전에 읽은 걷기 예찬이 생각났고,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들을 보면서는 폴 오스터의 소설들이 생각났었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들에는 여행을 위한 장소들이 자주 등장한다. 무표정한 사람들, 타인들과 어울리지 않는 혼자있는 사람들이 자주 등장한다.
집단적 외로움과 마주치자 에드워드 호퍼가 그린 유화 몇점이 떠올랐다. 그의 그림들은 황량함을 묘사하고 있지만 그 자체가 황량해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보는 사람이 자신의 슬픔의 메아리를 목격하게 함으로써 그 슬픔으로 인한 괴로움과 중압감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게 해준다. 어쩌면 우리가 슬플 때 우리를 가장 잘 위로해주는 것은 슬픈 책이고, 우리가 끌어안거나 사랑할 사람이 없을 때 차를 몰고 가야할 곳은 외로운 휴게소인지도 모른다.
여행을 하면서 이국적인 풍경은 그 나라에 대한 강한 인상으로 다가오고 이후 까지도 그 나라에 대한 강한 선입관을 만든다. 나에게 미국은 한마디로 무엇이든지 큰 '거대한 나라' 인상이다. 샌프란시스코에 갔을 때 나는 정말이지 모든 사물이 그렇게 크고 넓은 것이 너무나 충격이었다. 굉장히 비만인 사람들, 커다란 햄버거와 콜라, 하물며 길가에 핀 코스모스 한송이는 얼마나 컸던지. 홍콩에 갔을 때 침사추이 시장통에서의 그 특유의 냄새들은 아직도 생각하면 고개가 설레설레 흔들어진다. 습하고 더웠던 날씨. 그 끈적끈적함. 후텁지근함.
플로베르는 자신이 평생 프랑스인이었던 것을 증오하며 동양과 이슬람에 대한 환상을 키웠다고 한다. (내가 가장 가보고 싶은 프랑스인데 이건 정말 불공평하지 않은가)
플로베르와 이집트의 평생에 걸친 관계를 보면 우리도 어떤 나라에 느끼는 매력을 심화하고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느낌이 든다. 플로베르는 사춘기 이후로 자신이 프랑스인이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이 나라와 이 나라 사람들에 대한 그의 증오는 너무 강렬하여, 그는 자신이 프랑스 국민이라는 사실을 조롱하기까지 했다. 그는 국적을 부여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했다. 출생지나 선조를 따지지 말고, 자신이 매력을 느끼는 장소를 따지자는 것이다.
언젠가 어떤 사람이 프로방스를 여행하면서 고흐가 그림그렸던 흔적을 따라 여행했다고 쓴 글을 보고 부러웠던 적이 있었다. 나도 언젠가 꼭 그렇게 여행해보리라 생각했던 것 같다. 고흐가 그린 까만하늘에 총총히 박혀있던 노란 별들, 마치 춤을 추는 꿈틀거리는 사이프러스들, 남미풍의 노랑 방, 그리고 까페들을 보고 사람들이 그것이 실제와 너무 다르다고 비난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고흐이전의 화가들은 실제를 그대로 재현하는데 그림의 의미를 두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고흐는 달랐다. 그는 화가의 눈을 통해 어떤 풍경이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음을 인식하고, 그 매력을 더욱 부각시키려고 노력했다. 내가 한국이라는 이 조그만 나라에서 몇백년 전 그의 그림을 보고 타국의 어떤 장소를 그리워하고 있는 것 이것이야말로 고흐가 노리던 바로 그것이지 뭔가!
휘슬러 이전에는 아무도 영국의 안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고흐 이전에는 아무도 프로방스의 사이프러스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것. 예술은 보통의 말대로 예술가에게만 있는 천재적인 광기와 독틈함이 아니다. 단지 그것은 열광에 기여하고 우리가 이전에는 몰랐던 것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일종의 열쇠인 것이다.
관심의 범위와 깊이, 강도는 여행이 주는 기쁨의 정도를 크게 좌우한다. 러스킨은 교육에서 특정 사물을 관찰하고 그리는 '데생'을 매우 강조했다. 이 부분을 읽는데 고등학교때 미술 선생님이 우리 주변에의 사물들을 그려보라고 했던게 기억난다. 학, 고양이, 사람의 옆모습 이었나 대충 이런거 였었는데 의외로 그것들을 그리는데 시원스럽게 그리지 못했던게 기억난다. 일상에서 관찰력의 부제가 그 원인이었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니 선생님이 이것을 시켰던 것도 이런 의도 였을 것 같다. 러스킨의 생생하게 묘사된 꽃게그림이 펼쳐져 있다. 나뭇잎, 가지들을 이렇게 저렇게 그린 것들이 내 눈을 사로 잡는다. 훈련된 관찰력은 어떤 사물에 보다 애정을 갖고 바라보는 힘을 길러주고 그럼으로써 우리의 감성은 배로 풍부해질수 있을 것이다. 흘러가는 구름의 변화와 날씨의 변화를 말로 표현해보라고 하면 우리는 10가지 표현도 못할 것 같다. 러스킨은 '말그림'으로 대상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라고 한다. 글을 쓰면서도 자주 쓰는 어휘들만을 쓰고 말을 할 때도 물론 그렇고, 사유를 풍부하게 하는 것은 러스킨의 말대로 말그림을 그리는 연습을 하지 않으면 절대로 늘지 않을 것이다. 나도 오늘부터 열심히 말그림 그리는 연습을 해야겠다.
이책은 단순한 여행에세이가 아니다. 책을 들고 떠나는 여행이랄까...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가 책을 들고 떠나는 연애였던 것처럼 말이다. 이 사람 정말 재치있고 예민하고 박식한 듯하다. 아, 부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