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린 로빈슨 지음, 유향란 옮김, 김성곤 해설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으로 돌아온' 두 남매가 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한번 독립한 어른이 고향집으로 돌아와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독립하기전 유년기가 행복하지 않은 경우라면 더욱 더...

그야말로 '홈'이란 단어는 온갖 애증을 함축하고 있는 단어들을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늙은 부모와 다 자란 자식이 사는 일이란 결코 쉽지 않다.

젊은 날을 탕아로 보낸 잭은 위로 받기 위해 돌아온다. 돌고 돌아온 길.. 반기지 않는 마을 사람들과 자신을 아직 용서못한 아버지가 있는 집이다. 세상에서 얻은 상처는 집으로 와서 치유될 수 있는 것일까. 잭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건 상처를 치유받기 받기 위해 찾아온 곳이 옛집이라는 건.. 그것이 그 정도가 얼마나 심했을지 경험해본자만이 알 것이다.

나는 글로리아의 감정에 많이 이입이 됐다. 죽음을 기다리는 아버지와 겉도는 오빠를 돌보아야 하는 결코 적지 않은 나이의 글로리아. 읽는 내내 애틋해서, 안타까워서.. 마음이 많이 아팠던 소설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스위트 홈이라 부르는 우리의 부모님이 계신 집. 누군가에게는 계셨던 집. 유년기를 아름답다고 포장하는 건 한 사람의 생의 뿌리가 그곳에서 출발해서 일것이다. 어찌되었건 어린 시절이 아름답게 기억되는 건. 그리고 많이 용서되었다는 건 내가 좀더 어른이 되었다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