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별 내용이 있겠거니 하고 넘겨 보았다가 정말 재밌게 읽었다. 독서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눈이 번쩍 뜨이는 기분이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이 세상에 참 많다. 하지만 작가가 말했듯 다독은 음식 많이 먹기 대회가 아니다. 책을 읽어서 저자와 같이 어떤 결과물을 창작해 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재미만을 위해 혹은 심심풀이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책을 '많이' 읽는 것임은 분명 아니다. 내가 이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는 것은 독서라는 행위가 우리가 매일 밥을 먹고 잠을 자는 것처럼 일상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아이에게 공부하라며 책을 읽지 못하게 하는 아이러니는 말하자면 밥 먹는 시간이 아까우니 밥을 먹지 말고 공부하라는 말과 다를게 없지 않을까. 비유가 다소 비약이 있기는 하지만 여튼간에 늘 어느 장소, 어느 순간에게 독서를 다른 행위들과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 새로운 시각이었다. 같은 책을 반드시 두번이상 읽는다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나는 재독을 하는 경우가 손에 꼽을 정도이니.. 한번 실천해봐야겠다. 은사가 권해준 책 <채털리 부인의 사랑>(<채털리 부인의 연인>? 민음사는..)을 이해하지 못했다가 나이가 들어 다시 읽으니 이해하겠다는 것은 재독을 하지 않았으면 깨닫지 못했을 일이었다.  

 인터넷에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사전도 인터넷으로 다 해결된다. 지식과 지식이 연결되어 우리는 그 망망대해를 훑고 다니지만, 그 지식이 내 머릿속에 구조화되어 있는 것과 검색창에 키워드를 넣고 검색해서 건진 정보는 서로 비교할 바가 안된다.  책장을 넘긴다는 것은 매우 개인적인 행위 같지만 타자와 만나고 소통하는 일이라는 것.. 그리하여 종이책이 없어질 것이라는 예언에도 여전히 종이책이 건재하며 살아있다는 것..  진정한 독서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불뚝 솟아오르게 만든 책이었다.  

 우리의 감정은 결코 튼튼하지 못합니다. 변하기 아주 쉬운 것입니다. 또 홀로 우뚝 설 것 같기도 하고 무너져 내릴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공감이 우뚝 섬과 무너짐의 경계 지점으로 향하는 것입니다. 즉, 여기에는 '긍정의 영역'도 있고 '부정의 영역'도 있는 것입니다. 이 양쪽의 경계에서 일어날 법한 것을 찾으려고 저는 책을 읽어왔습니다. 이런 책읽기를 순수한 책읽기 혹은 부서지기 쉬운 책읽기라고 해도 좋습니다. 이것은 자기 안에 결여나 부족이나 구멍이 생길 수도 있는 조금은 아슬아슬한 책읽기입니다. (p.2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