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투 런 Born to Run - 신비의 원시부족이 가르쳐준 행복의 비밀
크리스토퍼 맥두걸 지음, 민영진 옮김 / 페이퍼로드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달리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있는가? 저자는 지금도 행복하게 바란카스 어딘가를 달리고 있을 타라우마라족이라는 원시부족이야기를 들려준다. 지칠 줄 모르고 달리는 이들의 모습을 보면 같은 인간으로서 우리의 달리기 기능(?)이 얼마나 퇴화되었는가를 실감나게 해준다. 인간의 어느 한 부분이 퇴화되었다는 것은 그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서 일텐데.. 사실 지금의 우리는 맹수로부터 쫓겨 달아나야하는 상황도 없고 하루 종일 먹이를 구하러 사냥하러 돌아다니지 않아도 되니 말이다. 달리기는 그저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 된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좋은 신발을 신을수록 다리에 부상이 많아진다는 경험을 통해 달리기 이론(이론이란 것이 있다면)의 저 밑바닥까지 파헤치고 든다. 첫째, 가장 좋은 신발이 가장 나쁜 신발이라고 한다. 신발에 스프링과 쿠션을 단 고가의 신발을 신은 선수일수록 부상이 잦았고 오히려 샌들만 아니면 맨발로 뛸수록 발이 더 강화진다는 것이다. 둘째, 발은 충격을 좋아한다. 충격을 받은 발은 그 충격을 이겨내고자 균형감각을 늘리고 강해지는 것이다. 셋째, 인간은 신발을 신지 않고 달리도록 만들어졌다고 한다. 우리 발다닥의 아치 모양이 그 예이다. 맨발로 걷는 사람은 바닥에 대한 정보와 바닥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계속 받으며 발을 단련시켜 가지만 신발을 신게 되면 신발안에서 발은 잠들어 버리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정말로 달리고 싶어진다. 나도 타라우마라족처럼 척추를 곧게 세우고 보폭을 좁게 해서.. 달리기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들과 세계 울트라러너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