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랜만에 다시 읽는 <달과 6펜스>다. 주인공의 이름도 잊지 않고 있었다. 찰스 스트릭랜드. 아주 평범한 증권사직원으로서의 인생을 이어가고 있던 한 가장이 돌연 가정을 버리고 그림을 그리러 떠난다. 가족의 입장 특히 아내의 입장에서 보면 이런 배신이 따로 없다. 안정된 모든 것을 버리고 마흔이 넘은 나이에 그를 밖으로 이끈 것은 무엇이었을까. 사실 소설에는 이에 대한 명쾌한 답은 없는 것 같다. 뛰어난 재능이 있었는데 그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고 평범한 삶을 살다가 느닷없이 바람이 불어 떠났다는 흔한 이유조차 나와있지 않으니 말이다. 누구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런 욕구가 유독 강한 사람이 있는데 아마도 그런 사람들이 예술의 길을 걸을 것이다. 소설에서 그려지는 바와 같이 예술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혹독한 일이다. 무엇보다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장 크다. 끼니조차 제대로 이어가기 힘들지만 그림에 대한 열정만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 

 소설속에 등장하는 스트로브라는 인물은 스트릭랜드와 대조되는 사람이다. 그는 노력은 하지만 결코 뛰어난 걸작을 남길 수는 없는 삼류 화가다. 스트로브와 스트릭랜드를 대조해보면서 어쩌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천재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삶의 에너지를 스트릭랜드처럼 한 곳에 쏟아부을 수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은 상황이 그렇게 만들수도 있지만 용기나 재능이 부족해서 일수도 있다. 삶의 여러 측면에서 평균을 유지할만한 수준의 에너지를 분산시켜며 범인들은 살아간다. 예전같으면 나는 모든 것을 버리고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을 좇아 떠날 수 있는 스트릭랜드를 높게 평가했을 것이다. 하지만 천재 예술가는 광인과 같은 모습이라는 판에 박힌 전형을확인하는 것 같아 별로 새로울 것이 없다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