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7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윤상인 옮김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는 <산시로>,<그 후>,<문>으로 이어지는 3부작 중 중간에 해당한다. 나는 이 사실을 모르고 어쩌다가 중간을 가장 먼저 읽게 되었는데 이 소설 하나 만으로도 완성된 하나의 작품이므로 뭐..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이스케는 서른살이 되도록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않은 채 거기다가 결혼을 한 것도 직업이 있는 것도 아닌 상태이다. 집안에서는 결혼을 하라는 압박이 심하다. 아버지는 물론 형에 형수까지 가담한 상태다. 그런 그에게 대학시절부터 친구인 히라오카와 그의 아내 미치요가 찾아온다. 미치요는 그 둘의 절친의 여동생이다. 화근은 자신이 사랑하고 있던 미치요를 무슨 객기로 친구와 결혼하게 만들었다는 것. 그것으로 끝났으면 좋았으련만 이제와서 자신이 미치요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덕적으로 번민에 빠진 다이스케는 미치요를 책임지겠다며 히라오카에게 말하고 그와 의절을 하게 된다. 소설은 더 이상의 결론도 보여주지 않은 채 답답하게 끝나버렸다. 아마도 다음 소설을 보면 알게 될 수 있는 듯하다. 평소에 우유부단하고 돈을 벌기 위한 노동을 경멸하는 다이스케는 어떤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소설의 중간에 잠깐 나오는데 다이스케가 매사에 우유부단한 것은 모든 면을 고려할 줄 아는 융통성을 지녔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나온다. 어쩌면 그러한 다이스케의 성격에 비추어보았을 때 미치요를 책임지기로 한 것도 본인의 강력한 의지라기 보다는 상황(결혼을 하라는 집안의 압력 등)이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었을까하는 추측을 해본다. 인간은 상황에 의해 규정되는 존재라는 생각에 점점 더 동조하게 된다. 그런 인간의 심리를 매우 잘 포착하고 그려낸 나쓰메 소세키의 시선에 감탄을 하게 된다. 어쩐지 현실에서는 다이스케처럼 용감한(?) 고백을 하는 자는 아마도 드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이 보다는 다이스케의 고백을 듣는 히라오카의 절제되지만 무너지는 심정에 공감을 할 사람이 아마도 더 많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