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 한두 줄만 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필살기 ㅣ 이만교의 글쓰기 공작소
이만교 지음 / 그린비 / 2009년 5월
평점 :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글쓰기가 인생의 최대 목표가 되어야 한다. 너무나도 당연한 것 같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면서도 정작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 전념을 다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 고로..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망은 있지만 별다른 노력을 하고 있지 않다면 글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책은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를 논하기 전에 이러한 각오, 의지, 결심 같은 것을 묻고 있다. 당신은 정녕 간절하게 쓰고 있느냐고.. 글쓰기에 대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서 뜨끔한 것은 왜일까. 그 다음에 말하는 것은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은 그저 묵묵히 열심히 글을 쓸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글쓰기 선생님을 찾아다니고 사람들과 모여 자신의 글들에 대해 논의를 하고 누군가의 조언에 따라 글을 수정하는 것은 결국 자기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누군가의 잣대에 의해 참신한 글이 나올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기존의 장르, 쓰기 이론들에 꿰어맞추어서는 좋은 글이 나올 수 없다고 한다.
이 책에서 가장 주의깊게 보았던 것은 글쓰기에는 타자의 눈을 의식하는 '도덕적 정직'보다는 인간의 미묘한 심리를 잘 포착해내는 '실질적 도덕'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결에 교차하는 이질적 심리들을 잘 포착해낼 수 있는 것이 글을 잘 쓸 수 있는 비결이다. 자신의 심리상태를 잘 살피는 사람은 감수성이 풍부한 사람이고 이는 언어적 감각을 키우는데 기초가 된다. 글을 잘 쓰기 위해 좋은 글을 많이 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독서량으로 그것을 판단할 수는 없다. 전태일은 비록 한권의 책을 읽었지만 그 한권의 책이 그의 인생을 뒤흔들어놓았다. 성실한 독서, 능동적인 독서.. 기억해 두어야 한다.
광대한 우주속에서는 나라는 존재는 없어도 되는 아주 미약한 존재이지만 없어도 되는데서 생겨난 '잉여'에서 오히려 자유로움이 피어난다는 것.. 그리하여 우리 모두는 자기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살 권리가 있다는 것.. 글쓰기 책이지만 이 책의 말미에 씌여진 이부분에서 큰 위로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