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해지기로 작정한 두 사람이 있다. 완전한 가정을 꾸며 볼이 통통하고 명랑한 아이들을 낳아 사는 것이 이들의 행복의 척도였다. 그러한 상상에 걸맞는 궁전같은 집을 샀고 그러한 그들의 결혼생활은 순조로운 듯이 보인다. 여덟 아니면 열명이라도 나을 것이라 가족계획을 세웠고 네번째 아이까지 태어나자 어딘지 해리엇은 지쳐간다. 사람들은 이들의 생활에 비난을 하기 시작한다.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많은 손님들을 초대하고 이들과 어울리는 것이 해리엇과 데이비드의 소망이었것만... 다섯째 아이, 벤이 태어나자 마자 이들의 가정은 파괴되어간다. 짐승같고, 폭력적인 벤이 태어난 것은 하늘의 저주였을까. 해리엇은 자신이 그 누구도 불가능한 행복을 바랐기 때문에 벌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자식이지만 버릴 수는 없는 벤을 저주하지만 어쩔 수 없는 모성본능으로 병원에서 구출하여 돌봐준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벤과 함께 어울려 다니던 패거리가 그들의 궁전같은 집을 점점 잠식하고 황폐화시킨다. 결국 두 부부는 불행의 집으로 전락한 집을 팔기로 결정하면서 소설은 끝이 난다.  

 우선 이 길지도 않은 소설을 읽으면서 한없이 불편하고 짜증이 났다. 행복을 이런 식으로 바라는 해리엇과 데이비드의 모습이 낯설었고, 이들의 가정에 벤이라는 존재가 태어난 것이 말이 되지 않는 것 같았다. 하지만 벤이 이런 폭력적인 존재로 태어난 것은 해리엇이 벤을 임신했던 시기에 이미 너무 자신들의 삶에 지쳐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러니컬하게도 행복을 한없이 추구했지만 스스로를 불행에 만든 것 또한 그들자신이었으므로 악마같은 존재 벤이 태어난 것에 대하여 누구에게도 한탄을 할 수는 없다. 해리엇은 점점 스스로를 죄인으로 느낀다. 그저 모성애라는 불확실한 구원만이 이 둘의 관계를 겨우겨우 이어가게 할 뿐이다. 이 소설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읽을 수 있겠지만 나는 인간이 진심으로 바라는 것들이 아주 약간만 비틀어져도 정반대방향의 덫이 되어 스스로를 옭아맬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며 읽었다. 그러나 마음아픈 것은 끝내 벤을 버릴 수 없었던 엄마로서의 해리엇의 입장이다. 벤의 탄생마저도 그녀가 바란 것이므로 그 원인도 결과도 자신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은 모든 일의 원인이기도 하고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러므로 그 모든 것을 책임지라고 하기에 우리 인간은 얼마나 나약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