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9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강의 소설은 처음이다. 이 소설의 스토리나 결론은 매우 통속적이고 전형적이다. 하지만 저자가 작품해설에서 말한 것처럼 마지막에는 독자의 머릿속에 빨간불이 켜진다. 띠용띠용 사이렌 소리라도 들리게 하려는 것처럼 경고용 메시지가 깜빡거리는 것이 아닌가! 시덥잖게 읽어가다가 아뿔사,하게 된다는 말씀이다. 소설의 수많은 문장이나 말들은 어디선가 들었거나 읽었을 법하게 전형적이다. 너 없이는 못살아,류의.. 하하. 그저 웃음이 나올 뿐이다. 이 소설은 사강이 스물다섯이었을 때 쓴 소설이다. 그 나이에 서른아홉의 사랑은 아마도 그러했을 것이라고 사강은 짐작했는가 보다. 폴이 열서너살 아래의 연하남 시몽과 불같은 연애를 하며 혼란스러워하는 이중적인 모습은 너무나 전형적이다 못해 웃음이 나온다. 그리고 폴은 그런 사랑이 노인이 되었을 때나 가능한 사랑의 정점에 다다른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한다. 심한 감정의 기복에는 이제 나이가 들어 초탈해가는 시점에서 한참의 연하남(그것도 엄청 잘생긴)으로부터 듣는 연애의 초기에나 있을 법한 질문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라는 질문에 설레이지 않기란 힘들다. 반면 중년남자 로제의 무미건조한 연애짓은 상상만해도 **없다. 저자가 말했듯 사랑을 믿는 다기 보다 열정을 믿는 다는 말이 더 맞는지도 모르겠다. 덧없고 변하기 쉬우며 불안정하고 미묘한 사람 사이의 감정이란 것.. 그것을 그려낸다는 것은 사강 스스로가 말했듯 무정형적인 현실이라는 삶보다  형식적인 문학이란 틀에서만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여튼 이 소설,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