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 - 소통의 기술, 세상을 향해 나를 여는 방법
유정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읽기나 쓰기에 대해서는 고민을 한적이 있으나 말하기에 대해서는 그다지 고민을 해본 적이 없다. 유일하게 고민했던 적이 입사면접이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잘 말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말하기에 이렇게 많은 종류가?라며 말하기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하지만 현재 대학에서 열리고 있는 강의를 책으로 서술하다보니 많은 한계가 있는 것 같다. 가령 강의식으로 무엇에는 무엇,무엇이 있다,처럼 분류의 방식으로 서술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책으로 즉 글로 읽는 입장에서는 이런 강의식의 설명은 별로 도움도 안되고 지루함만 유발할 뿐이다. 차라리 좀더 다양한 실례들로 글을 매끄럽게 했으면 어땠을까 생각해본다.
이 책을 통해 얻은 가장 소중한 소득은 나의 말하기, 듣기 방식을 되돌아봤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말하기에 거짓 집중하고 있는 척 응수하지는 않았는가, 부분에서 엄청 찔렸다는.. 잘 말하기에 앞서 상대방의 말을 잘 듣고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예로부터 진정한 리더란 사람들의 말을 귀담아 들을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하지 않은가. 또 매끄러운 대화의 진행을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서로 적절하게 주고 받을 줄 알아야 한다. 열린 마음으로 나의 진정을 다해 임한 대화가 근래에 몇번이나 있었는지 생각해보니 부끄럽기 짝이 없다.
중요한 것은 아무리 논리적이고 문법적으로 다듬어진 글이라도 글쓴이의 진정성이 없으면 감화를 줄 수 없듯 말하기 역시 말하는 사람의 마음이 진심으로 담겨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논리로만 설명할 수 없는 동물이기에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책에서 말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역시 말하기를 별로 좋아하는 인간이 아니다. 여기저기 떠들고 다니는 인간을 깔보는 편이고 일단 말을 번지르 잘하는 사람은 한번 꼬아 보는 경향이 있다. 어려서부터 그랬고 지금도 그러하다. 하지만 알고 있는 것을 잘 말하지 못하면 진정 아는 것이 아니라 했듯 이제부터라도 잘 말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