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처음으로, 말하자면.. 세계문학전집류의 소설 중 가장 처음 읽은 소설이 <달과 6펜스>였다. 그때가 중1이었는데 이상하게도 중고등학교 시절 중 중1때의 기억들이 강렬하게 남아있다. <제인에어>,<테스>,<개선문>,<죄와 벌>과 같은 소설을 읽었는데 그 의미는 당연하게도 제대로 알아내지 못했다. 다 커서 고전소설들을 읽고 있는데 읽으면서 이래서 고전이구나!를 외치게 된다. 이 소설 역시 그랬다.
 사랑을 해본 사람이라면 주인공 키티의 감정에 금방 몰입하게 된다. 이성과 본능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키티의 삶과 대조되는 삶은 월터를 따라간 중국에서 콜레라환자들을 돌보는 수녀들의 삶이었다. 살면서 목숨을 거는 대상은 사람마다 다르다. 키티처럼 누군가는 사랑에 목숨을 건다. 세상을 유배지로 생각하며 희생과 고통의 삶을 통해 진정한 평화와 자유의 기쁨을 누리는 수녀들과 같은 사람들도 있다. 키티의 인생을 통해 내가 목숨을 걸고 있는 대상은 무엇인가 생각해본다.
 불륜의 사랑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보다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강렬한 느낌으로의 끌림과 마음의 고통을 이 소설을 통해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기분이다. 그토록 사랑했던 사람이 어느 순간 멋대가리 없는 돼지로 보일수도 있음을 확인하면서 키득거리게 된다. 오히려 키티는 힘든 사랑의 격류를 지나오면서 진정한 자유애의 의지, 동정심과 인간애를 배우는 삶으로 자신을 성장시킨다. 자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들에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가 믿을 수 있는 몇안되는 진리중 하나가 아닐까 한다.
 소설의 말미에서 키티는 자신이 임신한 딸이 태어나게 된다면 자신과는 다른 인생을 살 수 있는 사람으로 키우고 싶다는 희망을 품는다. 숱한 여성들이 자식들을 자신의 삶보다는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기를 희망하지만 사실 자식들의 삶 역시 그들 부모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다. 새로 태어나는 생명에게 자신의 인생노하우를 그대로 전수해줄 수 있으면 좋겠지만 본인이 겪고 느끼지 않는 한 그러한 조언들은 무용지물이 될 때가 많은 법... 이것이 인생의 신비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소설의 제목처럼 인생의 수많은 결 속에서 어떤 점을 느끼고 중요하고 가치로운 것으로 받아들일지는 각자의 몫이다. 이 한편의 소설을 통해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감정들, 그리고 그로인한 한 인간의 성장을 지켜본다는 것이 가슴벅차다.

“도(道). 우리들 중 누구는 아편에서 그 ‘길’을 찾기도 하고 누구는 신에게서 찾고, 누구는 위스키에서, 누구는 사랑에서 그걸 찾죠. 모두 같은 길이면서도 아무 곳으로도 통하지 않아요.” p.235

과거는 끝났다. 죽은 자는 죽은 채로 묻어 두자. 너무 무정한 걸까? 그녀는 온 마음을 다해 자신이 동정심과 인간애를 배웠기를 바랐다. 어떤 미래가 그녀의 몫으로 준비되었는지 모르지만 어떤 것이 닥쳐오든 밝고 낙천적인 기백으로 그것을 받아들일 힘이 자신의 내부에 자리하고 있음을 느꼈다. 그러자 갑자기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무의식의 심연으로부터 그들이 떠났던 여정이 추억처럼 떠올랐다. p.3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